중국
국제/국내
특집
기획
연재
미디어/방송
션윈예술단
참여마당
전체기사
후나이원(胡乃文•중의사) [SOH] 특수혈 중에 기죽마혈(騎竹馬穴)이 있습니다. 이 혈을 잡는 방법은 먼저 얇은 대나무조각을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손의 손목 횡문 중심에서 가운데 손가락까지 ..
후나이원(胡乃文•중의사) [SOH] ‘병이 고황(膏肓)에 들어갔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병이 아주 중해 매우 고치기 어렵다는 뜻인데요, 그렇다면 고황은 어디일까요? 고황은 혈자리 이름으로 흉추 ..
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오늘은 최씨 사화혈(崔氏 四花血)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여기서 ‘사화혈’이란 4군데 혈자리를 지칭합니다. 그렇다면 이 혈자리는 어떻게 잡을까요? 무릎 뒷편 오..
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한의학 임상에는 침•뜸, 한약 등 다양한 치료방법이 있습니다. 한약 전문가가 아니면 약을 쓸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침과 뜸 역시 침과 뜸 전문가의 일입니다...
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황제내경’에도 함부로 침을 놓을 수 없는 상황에 대해 여러 곳에서 비교적 자세히 언급하고 있습니다. 성관계 전후, 술 먹기 전후, 화를 내기 전후, 과도한 노동 전..
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뜸(灸)’은 쑥을 뭉쳐 혈자리에 온열(溫熱)자극을 주는 치료법입니다. 뜸쑥을 흔히 애융(艾絨)이라고 하는데 솜처럼 고운 쑥을 손으로 잘 말아 쌀알크기 정도로 비벼 ..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침구대성(鍼灸大成)’은 명나라의 양계주(楊繼洲)가 편찬한 침구학(鍼灸學) 전문서입니다. 침구대성은 ‘황제내경’, ‘난경’뿐만 아니라 명나라 당시의 각종 침구서적을 집대성..
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8. 곤륜혈(昆侖穴) 곤륜혈은 족태양방광경의 경혈(經穴)입니다. ‘마단양천성십이혈’ 중에는 방광경 혈자리가 3개 있는데, 바로 위중, 승산, 그리고 곤륜이지요. 곤륜혈..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5. 위중혈(委中穴) 위중혈은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의 합혈(合穴)이며 무릎 뒤에 있습니다. 다시 말해 무릎 뒤편 오금에서 가로주름의 한가운데에 해당하지요. 이 혈은..
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3. 곡지혈(曲池穴) 팔을 조금 굽혀 손바닥을 자신의 심장에 댔을 때 팔의 가장 높은 곳을 지나는 경락이 ‘수양명대장경’입니다. 이 경락 중에서 팔꿈치가 굽는 곳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