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국내
특집
기획
연재
미디어/방송
션윈예술단
참여마당
전체기사
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가장 좋은 의원은 양생(養生)의 도(道)를 중시할 뿐만 아니라, 양성(養性)의 도 역시 중시합니다. 사람의 성품이 선(善)하면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
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고대인들은 질병의 고통을 덜기 위해 ‘복이(服餌) 양생법’을 했습니다. ‘복이’란 한약이나 음식을 복용하는 것을 말하지요. 많은 의약(醫藥) 서적에서 ‘복식법(服食法)’..
글/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난경(難經) 61난’에는 ‘보고 아는 것을 신(神)이라 하고, 듣고 아는 것은 성(聖)이라 하며, 물어서 아는 것을 공(工)이라 하고, 맥을 짚어(切) 아는 것을 교(巧)라 한..
글/ 후나이원(胡乃文) [SOH] 중국 전통의학의 수많은 고서(古書)는 모두 병을 미연(未然)에 방지할 것을 강조합니다. ‘좋은 의사는 병이 생기기 전에 치료하고 보통 의사는 이미 발생한 병을 치료한다..
글/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수선(修仙)을 지금의 말로 표현하면 바로 ‘연공(煉功)’입니다. 고대에는 연공을 수련(修煉)이라 했으며 단순히 공(功)을 연마하는 것 외에도 심성(心性)을 수양했습니다...
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환자가 치료를 받기 위해 진료비를 지불하자, 의사가 돈을 받아 땅바닥에 내팽개친다면 환자의 마음은 어떨까요?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 중 한 명인 장자화(張子和)..
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동한(東漢)시대의 장중경(張仲景)은 환자의 맥(脈)이 매우 조화로워 맥박수도 적당하고 부위에 따른 맥의 모양도 적당해 꾀병(詐病)임이 틀림없을 때 ‘(당신의) 병이 매..
글/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고대 명의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신병을 치료했습니다. 선의(仙醫)라 불리는 명말청초(明末淸初)의 부청주(傅靑主)에게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평소..
글/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중의학에서는 병의 증상을 일으킨 근본원인을 탐구하기 때문에 심리치료에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합니다. 중의학 역사에서 금원(金元)시기는 아주 특별합니다. 이 시기에 잇..
글/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양의사는 병을 볼 때 물질의 메커니즘을 중시합니다. 반면 한의사가 병을 볼 때는 근본을 중시합니다. 완전히 ‘병’이란 개념 자체를 벗어나 병 자체가 아니라 병의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