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국내
특집
기획
연재
미디어/방송
션윈예술단
참여마당
전체기사
글/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명나라의 이시진은 ‘본초강목’에서 ‘병을 치료하려면 먼저 원인을 살피고 병기(病機)를 알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또 황제내경 ‘소문(素問)’편에서 탕액요례(湯液醪..
[SOH] 현대과학에서 물은 수소원자 두 개와 산소원자 한 개가 결합된 H2O를 가리킵니다. 그러나 명(明)나라 때 명의(名醫) 이시진(李時珍)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물을 천수(天水 하늘에서 내리는 물) 1..
[SOH] 중의학은 도가(道家) 학술 체계의 하나로 ‘천인합일(天人合一)’을 강조합니다. 도가에서는 사람의 몸을 하나의 소우주(小宇宙)로 보는데요, 인체의 모든 기혈(氣血) 순환과 흐름에는 모두 대우주(大宇..
[SOH] 의료(醫療)의 목적은 사람이 질병의 고통에서 벗어나 더 이상 병이 생기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어떻게 병에 걸리지 않을 수 있는가?’라고 생각하지요. 병에 걸리지 않는 해답을 찾..
[SOH] 고대 중국에서는 의사가 되려면 반드시 공부해야 하는 과목들이 있었습니다. ‘황제내경(黃帝內經)’, ‘난경(難經)’, ‘상한잡병론(傷寒雜病論)’ 그리고 여러 가(家)의 처방전인 경방(經方)을 공부했고, ..
글/연연(燕燕) [SOH] 대만 명문 국립사범대에서 생물학을 전공하고, 미국 유학길에 올라 스탠퍼드연구소(SRI)에서 생명과학 분야를 연구하던 한 젊은 과학도가 어느 날 갑자기 전통의학을 하겠다며 모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