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제/국내
특집
기획
연재
미디어/방송
션윈예술단
참여마당
전체기사
[SOH] ‘장기 강제적출에 반대하는 의사회(DAFOH)’가 250만 명분의 강제 장기적출 반대 서명을 지난 달 유엔에 제출했다.중국에서는 장기 이식수술 건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그것에 사용되는 장기의 출처는 정..
[SOH] 황제푸(黃潔夫) 전 위생부부장은 중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장기이식과 관련된 수치를 왜 정확히 밝히기 어려운지’에 대해 밝혔다. 황제푸는 인터뷰에서 “중국의 장기이식은 사형수들로부터 공..
[SOH] 탐사 저널리스트 에단 구트만은 2014년 출간한 저서 ‘대학살’을 통해 파룬궁 양심수들이 강제 장기적출로 대량 학살된 사실을 밝히고, 톈진 제1병원 동방이식센터의 서비스를 광고한 웹사이트 www.cnt..
[SOH] 중국에서는 장기 출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장기이식 수술 건수는 연간 수 만 건에서 수십 만 건으로 추산되고 있다. 지난 2006년부터 이에 관한 조사를 펼쳐 온 국제조사팀(노벨 평화상 후보)에 따르..
[SOH] “간 이식이 입원부터 불과 4시간 만에 행해지는....이러한 일은 의학상 있을 수 없다”. 중국에서는 수많은 파룬궁 수련자에게서 강제로 장기가 수탈되고 있다는 증거가 아직도 계속 나오고 있다. 최근 ..
[SOH] 1990년 말, 간이식 외과의사 션종양은 그의 경력에서 침체기에 있었다. 중국 내 장기이식 산업은 낙후한 상태였고, 수술은 위험해서 이식을 받으려는 수혜자가 거의 없었으며 장기공급도 제한되어 있었..
▲ 중국 톈진 제1중앙병원[SOH] 중국 톈진 제1중앙병원은 장기이식을 통한 수익 창출을 위해 수만 명을 살해했다.톈진 제1중앙병원은 알려진 공급원이 없음에도 자체 발표보다 더 많은 이식을 해 온 것으로 보..
[SOH] 지난 2006년부터 각종 조사와 관련자 증언을 통해 제기돼온 중국 내 파룬궁 수련자에 대한 강제 장기 적출 만행이 사실로 드러났다.중화권 언론 대기원시보에 따르면 중국 부호 궈원구이는 지난 4월 19..
(1) 보고서 연재에 앞서 [SOH] 2016년 6월 22일, 전 캐나다 아태 담당 국무장관 데이비드 킬고어(David Kilgour)와 캐나다 인권변호사 데이비드 메이터스(David Matas), 중국문제 전문가 겸 언론인 에단 구..
[SOH] 캐나다 보수당 가넷 지니어스(Garnett Genuis) 의원이 6일 오타와의 국립 기자회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국회에서 캐나다인이 중국 등 해외에서 출처가 불분명한 장기를 이식받는 것을 범죄로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