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최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마련된 홍콩 행정장관 선거 관련 입법 초안이 홍콩인들의 분노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현지 언론들은 27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진행된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2차 전체회의에서, 2017년 홍콩에서 직선제로 치러지는 행정장관 선거와 관련해 차기 선거 입후보자 참여의 문턱을 높이는 입법 초안이 나왔다고 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31일 전인대의 의결을 앞둔 이번 초안은 대부분 친중국계 인사로 구성된 1,200명 규모의 현행 행정장관 선거인단을 유지하고, 이들 중 과반수 이상의 지지를 얻어야 입후보자가 될 수 있으며 후보자 수는 2~3명으로 제한됩니다.
이에 대해 중앙정부의 간섭없는 자유선거를 주장해온 홍콩 시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일반 시민의 자유로운 입후보를 위해 제도 개선을 요구해온 '센트럴을 점령하라' 등 홍콩 시민단체들은 "현행 간접선거 제도에서는 선거인단의 8분의 1 이상의 지지가 있으면 입후보할 수 있는데 왜 그 같이 문턱을 높였냐?"며 항의했습니다.
마위에 홍콩 중문대 교수는 "이렇게 되면 일반 홍콩시민이 행정장관 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지적했고, '센트럴을 점령하라'의 베니 타이 홍콩대 부교수는 "이 안이 통과된다면 31일 홍콩 행정장관 관저 앞에서 항의 집회를 가지겠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6월 홍콩에서는 이들 시민단체가 주도하는 행정장관 선출 방식을 묻는 비공식 국민투표가 진행됐습니다. 당시 78만 명이 참여한 투표에서, 등록 유권자의 1% 이상의 서명을 얻거나 입법회(홍콩 의회) 선거에서 5% 이상의 지지를 얻은 정당이 공천한 인사가 입후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바 있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팡즈헝 홍콩교육학원 교수는 "행정장관 선거 제도를 둘러싼 갈등이 계속 이어진다면, 홍콩 사회가 분열과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