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미국의 관세폭격으로 경기침체에 직면한 가운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불안해진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방어하기 위해 정적 제거를 강화하고 있다.
시 주석은 2012년 말 집권을 시작한 이래 부패 척결을 앞세워 최대 정적인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의 인물들을 대대적으로 숙청해왔다.
지난달 멍훙웨이(孟宏偉) 전 국제형사경찰기구(인터폴·Interpol) 총재가 뇌물수수 혐의로 당국에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데 이어, 최근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중앙군사위)는 팡펑후이 전 연합참모부 참모장, 장양 전 정치공작부 주임에 대한 기율·법 위반 혐의를 심사했다.
17일(현지시간)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앙군사위는 전날 팡 전 연합참모부 참모장, 장 전 정치공작부 주임에 대한 기율·법 위반 혐의를 심사했다.
중앙군사위는 심사에서 팡 전 참모장에 대해 ‘당 규율 위반 및 뇌물 수수’ 혐의를, 장 전 주임에 대해서는 ‘당 규율 위반 및 청렴의무 위반, 뇌물수수’ 혐의가 있다고 각각 심사하고 이들의 당적과 군적을 박탈했다. 장 전 주임은 지난해 11월 당국 조사를 받다 자살한 인물이다.
이들은 모두 장쩌민계로 분류되는 인물들의 인맥이다. 장 전 주임은 시 주석 체제 출범 후 군 부패의 몸통으로 지목돼 낙마한 궈보슝·쉬차이허우 전 중앙군사위 부주석의 인맥으로 알려졌고, 펑 전 참모장도 궈보슝 파벌로 분류됐다.
앞서 언급한 멍 전 인터폴 총재도 장쩌민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저우융캉(周永康) 전 중앙정법위원회 서기가 발탁한 인물로 알려졌다.
멍훙웨이는 지난달 중국 출장을 간다고 한 뒤 연락이 두절됐고, 현재는 뇌물수수 혐의로 조사받고 있다. 멍을 발탁한 저우융캉은 후진타오 전 주석 시절 막강한 권력을 누렸지만 2015년 수뢰 및 권력남용 등 혐의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시 주석은 집권 직후부터 ‘반부패 척결’을 앞세워 꾸준히 정적을 제거해왔지만, 지난 4월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잠시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시 주석은 지난 3월 집권 2기 시작과 함께 장기집권의 발판을 마련하며 호전적인 ‘중국굴기’ 정책을 강행해왔지만 무역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가속화되면서 정치적 입지가 위협받고 있다.
이에 대해 상하이의 한 정치학자는 미중 무역마찰에서 효과적인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는 시진핑이 “체제 발족 후 최대의 정치적 시련을 맞았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진행되는 시 주석의 ‘반부패 속도 높이기’는 불안해진 정치적 입지를 보완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