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문제를 2050년까지 ‘통일’로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온 가운데, 새해 첫 공식 연설로 양안 평화통일을 강조하고 나서 양국 간 갈등이 한층 고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에 따르면 시 주석은 2일(현지시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대만 동포에 고하는 글 발표 40주년 기념회’ 연설을 통해 양안이 ‘92공식(九二共識·1992년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각자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 합의)’에 따라 일국양제(一國兩制) 체제로 평화통일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 주석은 이번 연설에서 △대만은 중국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양안 통일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과 △중국의 내정인 대만 문제에 외부의 어떤 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시 주석은 앞서 2017년 10월 ‘제19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업무보고에서 양안문제에 대해 ‘하나의 중국’을 강조하며, “국가분열이 재연되는 것을 절대 용납지 않겠다. 조국의 완전통일 실현은 ‘중화민족 위대한 부흥’의 필연적 요구로 2050년까지 ‘중국몽’(中國夢)을 실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대만을 이끄는 차이잉원(蔡英文) 총통은 92공식을 거부하며, 대만을 중국의 일부가 아닌 독립적인 ‘중화민국 대만’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양안 관계는 현재 교착 상태에 빠져 있다.
차이 총통은 시 주석의 이번 연설에 대해서도 공식적으로 강한 발발을 표시했고 지난 1일 취임 후 첫 신년담화에서도 “중국은 대만을 별도의 (독립적) 국가로 인정할 것”을 요구했다.
한편, 시 주석이 이번 연설에서 밝힌 ‘양안문제에 대한 외부 세력 개입 불허’는 사실상 미국을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중국과 치열한 무역전쟁을 벌인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중국이 ‘핵심 이익’으로 주장하는 대만 문제에 대해 대만과의 긴밀한 행보를 통해 중국을 자극해왔다.
2일 대만 <자유시보>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인도·태평양 전략의 지원 대상 국가에 대만을 포함시키는 아시아지원보장법안에 서명해 미·중 간 갈등 요소가 추가된 상태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