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지난해 ‘하나의 중국’을 앞세워 각종 해외 서비스 기업에 대만 등의 표기 문제를 수정할 것을 요구한 데 이어, 올해 들어 또다시 외국계 기업을 상대로 '하나의 중국' 정책을 관철하기 위한 압박에 나섰다.
17일(현지시간) <빈과일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중국 중앙정치위원회 산하 <법제일보>는 전날 세계 500대 기업 중 애플을 비롯한 66개 기업이 홈페이지 등에서 대만을 잘못 표기했다고 지적하며, 이에 대해 중국법률로 조치해야한다 밝혔다.
법제일보는 중국이 최근 발표한 첫 인터넷법치청서인 ‘중국인터넷법치발전보고서(2018)’를 인용해, 세계 500대 기업 중 나이키, 애플, 아마존, 지멘스 등이 포함된 다국적 기업 중 66개가 대만을, 53개 기업이 홍콩을 각각 독립적 국가로 표기했고, 45개 기업은 대만과 홍콩을 모두 잘못 표기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러한 표기에 대해 ‘국가의 통일을 파괴하는 행위’라고 비난하고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인터넷안전 관련결정’의 규정에 따라 관련 책임자에 대한 형사적 처벌과 기업의 등록말소, 처벌 등을 주장했다.
‘하나의 중국’에 대한 양안 갈등은 지난 2016년부터 대만 독립파인 민진당 차이잉원(蔡英文) 정부가 출범하면서 시작됐다.
차이 총통은 중국이 주장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거부하며, “대만은 독립적인 민주국가”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중국은 ‘외교적 고립’과 ‘무력을 동원한 전쟁 위협’ 등으로 대만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중국의 이번 표기수정 요구에 대해 대만의 중국 담당 부처인 대만 대륙위원회는 “대만은 중국과 타협하지 않고 국가 주권의 존엄과 민주체제를 결연히 수호할 것”이라며, “해외 기업을 이용한 중국의 횡포는 대만 주권의 존엄, 기업의 자주적 운영을 침범하는 부당한 행위”라고 비난했다.
중국은 지난해에도 메리어트 호텔과 의류 브랜드 자라, 중국으로 취항하는 44개 외국 항공사 등이 자체 웹 관련 정보에서 대만, 홍콩, 티베트를 ‘국가’로 표시한 데 대해 경고 및 소환조사를 벌이는 등 날을 세운 바 있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