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중국 관영 중앙텔레비전(CCTV) 계열인 중국 환구전시망(中國環球電視網·CGTN) 미국 지사가 지난달 외국대리인등록법(FARA)에 기초해 미 법무부에 등록된 직후, 이 회사의 지사장 등 고위 임원 수십 명이 최근 인사이동으로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등록으로 CGTN 미 지사는 미국 내에서의 업무 및 활동을 제한 받을 수 있고, 중국 공산당이 해외에서 추진하는 프로파간다 선전도 좌절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11일(현지시간) 미 뉴욕타임스(NYT) 중국어판에 따르면, 미 법무부는 지난 1년간 CGTN 미 지사에 대해 자사와 중국 당국 간 관계를 상세하게 밝히도록 요구해왔다며, “이번 인사이동은 국면의 반영”이라고 분석했다.
FARA는 외국 정부를 위해 선전활동을 하는 기관에 대해 등록을 의무화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 법무부는 CGTN 미 지사에 대해 연간 예산과 지출 등의 정보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미 법무부에 따르면 CGTN의 마(麻) 지사장은 “우리는 어떤 정부의 지시도 받지 않으며, 정치적 활동도 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미 법무부의 등록과 관련해 “CGTN는 미 사법당국이 주장하는 외국 정부, 또는 외국 정당의 특징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CGTN 미 지사는 법무부에 등록된 중국의 22개 ‘외국 대리인’ 기관 중 처음으로 자금 용도를 공개했다. 관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이 지사의 모든 자금 출처는 CCTV로 지출 총액은 799만3000달러(약 90.7억원)였다. 이 중 약 72%인 574만3000만 달러(약 65.2억원)는 고용 관련 지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에는 180명의 기자가 활동하고 있다.
NYT는 이 회사에 대해 중국 당국의 글로벌 소프트파워 전략의 일부’라고 지적했다.
CGTN은 미 법무부에 제출한 자료에서 ‘정부로부터 어떠한 지시도 받지 않으며, 정치적 활동을 하지 않는다’고 밝혔지만, 중국 정부가 탄압하는 신장위구르자치구의 무슬림 소수민족과 기공단체인 파룬궁 등에 대해 정부 측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
인권단체 프리덤 하우스의 사라 쿡 동아시아 문제 전문가는 CGTN은 “중국 정부로부터 거액의 운영자금을 지원받으며, 정부의 입장을 옹호 및 대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미국 뉴욕대학 교환교수이자 중국 인권 변호사인 텅뱌오(滕彪)는 “CGTN은 중국 당국을 비롯해 중국 통신업체 화웨이 등과도 긴밀한 관계에 있다”며, 미 법무부가 관련 증거를 확보한다면 “CGTN은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일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미 법무부는 지난해 9월, CGTN과 함께 중국 관영 신화사 통신에 대해서도 외국 대리인 등록을 명령했지만 신화사 측은 아직까지 이에 불응하고 이다.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