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홍콩 정부의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공식 철회에도 민주화 요구 시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8일(현지시간) 홍콩 도심에서 미국 의회에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 통과를 촉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날 홍콩 도심인 센트럴 차터가든 공원에 수만 명의 시민이 모여 '홍콩 인권민주 기도집회'를 개최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미국 의회가 논의 중인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요구하고, 집회 후 홍콩 주재 미국 총영사관까지 행진한 후 총영사관 직원에게 해당 법안 통과를 촉구하는 청원서를 전달했다.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은 지난 6월 마르코 루비오 미 상원의원을 포함해 상하 양원 의원들에 의해 발의됐다.
이 법안에는 △미국이 매년 홍콩의 자치 수준을 평가해 홍콩의 특별지위 지속 여부 결정 △홍콩의 기본적 자유를 억압한 데 책임이 있는 사람들에 대해 미국 비자 발급을 금지 및 자산 동결 △억압자와 미국 기업 및 개인의 금융거래를 금지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은 중국과 달리 관세나 투자, 무역, 비자 발급 등에서 미국의 특별대우를 받고 있다.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을 공동 발의한 미국 공화당의 크리스 스미스 하원의원은 지난 6일 ”송환법 공식 철회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홍콩 정부는 자유선거, 민주주의, 자치 등을 보장하는 더 많은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홍콩 시위대는 지난 4일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송환법 공식 철회를 발표했지만, 정부가 자신들의 5대 요구사항을 모두 수용할 때까지 시위를 이어 가겠다는 입장이다.
시위대는 송환법 공식 철회 외에도 △경찰의 강경 진압에 관한 독립적 조사 △시위대 '폭도' 규정 철회 △체포된 시위대의 조건 없는 석방 및 불기소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날 집회 후 시위대는 성조기를 들고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 촉구 청원서를 전달하기 위해 홍콩 주재 미 총영사관까지 행진했다. 경찰은 총영사관 주변에 바리케이트를 설치해 시위대 접근을 막았다.
이에 총영사관 측은 직원을 인근 간선도로로 파견해 시위자들의 청원서를 받았다.
이날 시위에는 홍콩의 연예인들도 참가했다.
홍콩 여배우 디니 입(Dinny Yip, 葉德嫻)은 영어로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을 통과시켜주세요라고 쓴 현수막을 들고 시위에 참가했다.
가수 토미 위엔(Tommy Yuen, 阮民安) 씨는 캐리 람 행정 장관이 지난주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 철회를 발표한 것에 대해, “시민이 요구하는 다른 4개의 요구에는 응하지 않았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그는 지난달 말 지하철역 구내에서 홍콩 경찰이 무차별로 시민을 공격한 것을 강하게 비난하며, 방범 카메라에 찍힌 당시 상황을 공개해 사건의 전모를 시민들에게 밝힐 것을 경찰에 요구했다.
이날 시위에서도 시위대와 경찰간 충돌이 발생했다. 홍콩의 의원 관리국에 따르면, 8일 밤 9시 30분경, 강제 해산으로 부상을 입은 14~39세 남녀 10명이 2개 의료기관으로 후송됐다.
한편, 미국 윈스턴 로드 전 주중 대사, 캐나다 데이빗 말루니 전 주중 대사 등 정치인과 학자 80여명 등도 ‘홍콩 인권민주주의 법안’을 지지하며 법안 통과를 촉구하는 공개서한을 연명으로 미 상하원 정치인 12명에게 보냈다.
공개서한 작성에 참여한 미 노트르담 대학의 쉬톈보(許田波) 교수는 다른 나라들도 홍콩의 민주화 실현을 위해 억압자에 대한 제재에 동참할 것을 호소했다.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