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대만 총통에 대한 압력 강화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져, 내우외환으로 위상이 떨어진 자신의 이미지를 회복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분석이 일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중국 중앙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최근 대만독립 지향의 차이잉원(蔡英文) 총통 정부에 대한 압력을 강화할 것을 관계 당국에 주문했다.
통신은 이날 대만 국가안전보장 당국자를 인용해 시 주석이 민진당 정부를 퇴출시키기 위해 내년 1월 실시하는 총통과 입법위원 선거에 적극 개입할 것을 명령했다고 밝혔다.
시 주석의 이번 명령은 미국과의 무역전쟁 장기화로 경기 침체가 가속된 데다 지난 6월 홍콩에서 시작된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시위 장기화 및 격화로 실추된 자신의 정치적 위상을 수습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대만 국가안전국에 따르면 시 주석의 명령으로 마련한 대만 압박 방안(臺灣介選計劃)에는 △ 공산정권 수립 70주년 기념일인 국경절(10월 1일)까지 대만 수교국들을 최대한 많이 단교시킬 것 △중국인 대만 여행 금지 △대만해협 중간선 범위 축소를 위해 해공군 군사행동 개시 △ 정권에 대한 대만 사회의 우려와 불신감을 최대한 증폭시켜 내년 총선에서 차이잉원 총통 낙선 유도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특히 시 주석은 얼마 남지 않은 국경절 전까지 대만의 수교국들을 최대한 단교 시키기 위해 자금의 무제한 동원도 승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의 명령에 따른 당국의 외교 공세로 지난 16일 남태평양 도서국인 솔로몬제도가 대만과 단교했고 20일에는 남태평양 도서국 키리바시가 대만과의 단교를 선언했다.
지난 2016년 민주적 성향의 차이 총통 정부 출범 이래 중국의 획책으로 대만과 단교를 결정한 국가는 7개국이나 된다. 이로써 대만과 수교한 국가는 15개국으로 줄었다.
중국의 이러한 ‘대만 수교국 빼앗기’에 대해 대만 언론들은 홍콩 민주화 시위 장기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시 정부가 내년 1월 치러지는 대만 총통 선거에 영향을 끼치기 외교 고립전을 서두른 결과로 보고 있다.
대만 총통선거는 무역전쟁을 벌이면서 패권 다툼을 본격화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대리전 양상을 띠고 있는 데다, 홍콩 시민들의 범죄인 인도법(일명 송환법) 개정 반대 시위 사태가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여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