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정부가 언론 통제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자국 내 모든 언론인에 대한 사상 교육 강화에 나섰다.
18일(현지 시각) 영국 ‘더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 인력자원사회보장부와 국가신문출판서는 최근 발표한 언론 방침에서 “교육을 통해 정치적으로 확고하고, 전문적으로 우수한 언론인을 양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방침에 따라 중국 내 신문과 방송, 잡지 등에 종사하는 간부와 기자증을 소지한 취재기자, 촬영 담당자, 편집기자 등 20만여 명에 달하는 모든 언론인은 사상 교육을 포함해 최소 90시간에 달하는 당 주관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
당국은 “뉴스와 여론 작업에 대한 당의 사명에 따라, 마르크스주의 뉴스 교육을 심화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해당 교육은 내년 초 시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더타임스는 “내년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결정되는 시기를 앞두고, 언론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시도”라며, 이는 일당 독재에 대한 어떤 이견도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고 해석했다.
중국 정부의 언론 통제는 지난 2012년 시진핑 집권 이후 대폭 강화됐다.
중국에서는 공무원은 물론, 민간 영역의 모든 기관·단체 간부들도 한 해에 90시간 이상 당이 주관하는 교육을 받아야 한다.
이달 초 중국은 공유자본에 한정해 신문방송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언론 통제책을 내놓았다.
공유자본은 사유 자본 등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해외 자본을 비롯한 비판 세력이 미디어 분야에 진출해 중국 여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한편, 중국은 올해 4월 국경없는기자회(RSF)가 발표한 ‘세계 언론 자유 순위’에서 전 세계 180국 중 177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RSF는 “중국 언론들은 공산당의 철저한 통제하에 있으며, 외신 기자들의 취재 환경도 점점 더 열악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민호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