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겉으론 강경, 물밑에선 해빙작업’
“후 주석, 전임자 對日정책 바꾸려 해”
중국의 대일(對日) 정책이 선회하고 있다. 2001년 이래 지금까지 정상회담을 열지 못한 경색된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중국 정부가 물밑작업에 적극 나서는 양상이다.
15일 오전 10시 중국 베이징(北京)의 일본대사관 앞에서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에 항의하는 중국인들의 시위가 벌어졌지만, 이는 매우 형식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시위대는 30여명에 불과했고 시위 시간은 20분이었다. 지난해 4월 고이즈미 총리의 신사 참배 때 중국 전역이 시위로 달아올랐던 것과는 딴판이다.
언론도 전과 달리 미온적이다. 홍콩 명보는 16일 “중국 정부가 반일 항의행사를 취재·보도하지 말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스인훙(時殷弘) 중국인민대학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지난해 격렬한 항일 시위가 부작용을 낳았다”며 “정부가 국민의 반일 감정을 통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15일 오전 일본 총리의 신사 참배가 확인되자 ‘국제 정의에 대한 도전이며 인류의 양식을 짓밟는 행위’라는 강력한 표현의 비난 성명을 발표했었다. 이와 관련, 워싱턴포스트는 16일 중국 정부가 신사 참배를 규탄하면서도 일본과의 평화적 공존을 다시 모색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무늬만 강경’했던 셈이다.
미 브레진스키학회의 황정(黃靖) 연구원은 지난 6월 중국의 대일정책 변화를 분석했다. 그는 장쩌민(江澤民) 시대에 중·미 관계만 중시하고, 신사 참배 중단을 중·일 정상회담 조건으로 내걸어 스스로 입지를 좁히는 외교적 실수를 범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후진타오 주석은 전임자의 정책을 바꾸려 하고 있다는 것이다.
2003년 국가주석에 취임한 후 주석은 이미 물밑으로 다양한 해빙 작업을 진행해왔다. 지난해 다이빙궈(戴秉國) 외교부 부부장을 일본에 보내 전략회담을 했고, 일본 방문 도중 양국관계 악화로 고이즈미 총리와의 면담을 취소하고 귀국했던 우이(吳儀) 부총리를 최근 다시 일본을 찾게 했다. 2004년 중량급인 왕이(王毅) 외교부 부부장을 일본대사로 파견할 때 이미 정책변화가 예고됐다는 분석도 있다.
후 주석이 최근 일본 방문 희망을 피력하고 중·일 양국이 조속히 건강하고 안정적인 궤도로 돌아가도록 노력하자고 촉구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여시동기자 [ sdyeo.chosun.com])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