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상하이 봉쇄 장기화로 경제 후폭풍 우려가 커지자 중국 정부가 특정 산업을 중심으로 일부 완화에 나섰지만 사실상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1일(현지 시각) 미국 경제방송 ‘CNBC’는 중국 정부가 상하이 봉쇄로 인한 경제 부작용을 고려해 반도체, 자동차 등 일부 산업의 운영 재개를 허용했지만 근로자들이 봉쇄로 출근하지 못하는 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지난 15일 ‘1차 화이트 리스트 기업’ 666곳을 발표해 정상적인 운영을 재개하도록 규제를 완화했다.
완화 대상에는 자동차 관련 기업(37.7%), 의약품·의료(27.6%), 반도체·집적 회로 부문(12.5%), 에너지·화학(10%) 등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하지만 부분적 봉쇄로 인력 및 물력 확충에 제약을 받고 있어 이번 규제 완화는 사실상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상하이 현지의 유럽상공회의소 관계자는 “많은 기업들은 노동력 부족과 물류난 등으로 공장 가동에 고충을 겪고 있다”며 “인력 역시 전체의 30~40% 수준만 복귀가 가능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공장 재가동을 허용하면서도 △폐쇄루프(공장과 외부를 철저히 불리는 방식)를 적용하거나 △근로자들이 공장 내에서 숙식할 것 등을 요구하고 있다.
화이트 리스트에 포함된 기업은 대부분 중국, 미국계로 알려졌으며 한국 기업은 거의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식품·화장품 기업인 농심, 오리온,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등은 지난달 28일부터 상하이 봉쇄로 생산 공장을 가동을 멈춘 상태다. / 조선비즈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