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공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도시 봉쇄 장기화로 중국 제조업 경기가 2020년 '우한 사태' 이후 최악의 상황에 빠졌다.
4월 30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7.4로 전월(49.5)보다 2.1포인트 급락했다. 이는 '우한 사태' 여파로 사상 최저를 기록한 2020년 2월(35.7) 이후 26개월 만에 최저다.
제조업 PMI는 기준선인 50보다 높으면 경기가 확장 국면에, 50보다 낮으면 경기가 위축 국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 제조업 PMI는 작년 9∼10월 50을 밑돌다가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50을 넘었지만 다시 최근 2개월 연속 50 밑으로 떨어졌다.
이 같은 제조업 PMI 급락은 3월 이후 본격화한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과 주요 도시의 봉쇄 영향으로 분석된다.
‘제로 코로나’를 고수하는 중국 정부는 3월 이후 지린성과 광둥성, 상하이 등에 대해 봉쇄 정책을 단행했다.
특히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약 3.8%를 차지하는 ‘경제 수도’ 상하이가 3월 28일부터 전면 봉쇄되면서 자동차와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생산시설 가동이 멈춰서는 사태가 발생했다.
중국 전체 수출입 물량의 17%를 처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 항만인 상하이 양산항도 화물차 운행 통제로 물류 처리가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다.
4월 하순에는 수도 베이징도 일부 지역 봉쇄에 나섰다.
중국 정부는 시진핑의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계속 고집하고 있지만 경기 하방 압력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자 최근 주요 기업 666개를 `화이트 리스트`로 지정해 조업 재개 가동에 나섰다.
강주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