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미국이 지난달 6일부터 총 500억(약 54조 9000억 원)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 중 340억 달러 제품에 1차적으로 25%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23일부터 나머지인 160억 달러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시작했다.
CNBC에 따르면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이날 오전 0시1분(미국 동부시간 기준·한국시간 오후 1시 1분)을 기해 160억 달러 규모 279개 품목의 중국산 수입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USTR은 앞서 이달 초, 중국의 기술 이전. 지식재산권 이전 강요, 불공정한 무역 관행 등에 대한 보완 조치로 무역법 301조를 적용해 관세를 부과할 160억달러 규모의 제품을 279개 품목으로 확정했다.
관세 대상 품목은 ‘중국제조 2025’ 수혜 품목으로 지목해온 반도체와 관련 장비, 전자, 화학, 플라스틱, 철도장비 등이 주요 타깃이 됐다.
이번 조치로 미 정부는 총 5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 1097개 품목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완료했다.
특히 미국의 이번 조치는 미중 차관급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단행된 것이어서, 향후 양국의 갈등은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워싱턴에서는 22일부터 이틀 간의 일정으로 왕서우원(王受文) 중국 상무부 부부장과 데이비드 멀패스 미국 재무부 차관이 이끄는 무역협상이 열리고 있다.
이날 중국도 같은 규모의 관세로 미국의 공격에 응수했다.
신화통신은 23일 “‘미국 160억달러 수입 상품에 대한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 공고’에 따라 중국은 23일 낮 12시01분(현지시간· 한국시간 오후 1시 1분)부터 160억 달러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정식 부과한다”고 밝혔다.
중국의 관세 부과 품목은 미국산 연료, 철강 제품, 자동차, 의료장비 등 114개다.
미국은 또 지난 20일부터 2000억 달러(약 224조3600억원) 규모의 대중 관세 조치에 대한 공청회를 진행 중이며, 추가 조치는 공론화 기간이 끝나는 오는 9월 6일 발효될 것으로 보인다. 세율도 10%에서 25%로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중국은 이에 대해 600억달러(약 67조2천억원) 규모 미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25%, 20%, 10%, 5%로 차별화한 관세 보복을 시사해, 보복 카드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대중 수입 규모는 5천55억달러에 달하지만, 중국의 대미 수입은 1천539억달러에 불과하다. (사진: NEWSIS)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