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중 양자 정상회담이 다음달 1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 중 진행될 예정인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향해 ‘관세 위협’ 폭탄을 날렸다.
6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중국과의 무역 합의 가능성을 낮게 내다보고, 중국에 대한 관세율 상향 조정과 관세 부과 범위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현재 관세를 부과하지 않은 나머지 2650억달러의 중국산 수입제품에 대한 10~25%의 관세를 강행하고 △2000억달러(약 226조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현재 적용 중인 10% 관세율을 앞서 밝힌 대로 내년부터 25%로 인상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현재 중국산 수입품 2500억달러 상당에 10~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이중 2000억달러 규모에 대해서는 관세율을 내년 1월 1일부터 기존 10%에서 25%로 올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최근 중국과의 무역갈등에 대해 “중국과 합의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며, 합의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했으나, 이러한 강경 모드로 입장을 바꾼 것은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기 위한 포석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위협이 실행될 경우, 지난해 중국의 미국 수출 규모가 5100억달러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모든 중국산 수입품이 관세 적용을 받게 된다.
트럼프의 이번 발언에 앞서 미 무역대표부(USTR)도 지난 20일, 중국의 강제적인 기술이전과 지식재산권 도용 등에 대해 “중국은 불공정하고 부당하며 시장을 왜곡시키는 관행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았다”며, 강경 입장을 재확인했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