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 상무부가 지난달 ‘블랙리스트’로 지정한 중국 기업 및 기관에 대한 제재 시행에 나섰다.
지난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지난 5월 22일 거래제한 명단(Entity List)에 올린 33개 중국 기업과 기관에 대한 제재가 5일부터 발효된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 등은 ‘대량살상무기(WMD)’,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인권탄압’ 등을 이유로 제재 대상에 올랐다.
이번에 새로 제재를 받게 된 기업과 기관은 대량살상무기(WMD) 및 군사 활동과 관련이 있는 24곳과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인권탄압과 관련된 9곳이다.
이 가운데 기업은 24개이며 공공기관 6개와 대학 2곳도 포함돼 있다.
제재 대상에는 중국의 주요 사이버보안업체인 치후360,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로봇 회사 클라우드마인즈, 중국의 대형 인공지능 회사 넷포사등인공지능, 안면인식 같은 첨단기술 적용 사업을 주로 하는 기업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
이번 조치로 이들 기업은 5일부터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 미국 기술 접근이 불가능하다. 미국이 아닌 다른 곳에서 생산한 제품이라도 미국의 기술과 콘텐츠가 사용됐다면 블랙리스트 기업과 거래할 수 없다.
미국은 또 중국 언론에 대한 제재도 확대해 중국중앙(CC)TV, 중국신문사 등을 포함한 중국 국영 매체 4곳 이상을 자산등록이 필요한 외국사절단으로 추가 지정할 방침이다.
사절단으로 지정될 경우 매체들은 미국 내 자산을 등록하고 새로운 자산을 취득시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 미국 시민권자를 비롯한 모든 직원의 명단도 제출해야 한다.
앞서 미 국무부는 지난 2월에도 신화통신, CGTN, 중국국제방송, 차이나데일리, 하이톈디벨롭먼트USA 등 중국 언론 5곳을 ‘중국공산당의 선전기관’으로 보고 사절단으로 지정한 바 있다.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