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코로나19(우한폐렴) 팬데믹이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경제권 구상) 프로젝트 추진의 최대 난관으로 대두됐다. 참여국들이 팬데믹에 따른 경제 충격으로 중국의 부채를 갚지 못할 경우 전체 프로젝트에 영향이 미치기 때문이다.
15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등 외신은 “일대일로로 채무에 시달리는 참가국들이 우한폐렴 팬데믹으로 한층 더 큰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2013년부터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등의 국가와 일대일로 사업을 추진해왔지만 사업장의 수익성 악화 등으로 많은 참가국들이 빚더미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일대일로 참가국 중 관광과 생산품 수출에 의지하는 아프리카 등 저개발 국가의 경우 팬데믹에 따른 충격이 상대적으로 더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올라가면서 중국의 일대일로도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중국은 이 프로젝트의 목표 달성을 위해 자국 은행과 기업을 이용해 대상국에 도로,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을 구축해왔지만, 과도한 자금 제공을 앞세워 정치·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일대일로 참여국의 대중국 부채 규모는 3800억달러(약 462조8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에 대해 독일 싱크탱크인 키엘세계경제연구소는 “중국은 과도한 대출 관행으로 참가국들의 환경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대일로 참가국 중 특히 세계 최빈국이 몰려 있는 아프리카의 경우 이러한 상황은 더 심각하다. 아프리카 국가의 중국에 대한 채무액은 전체 중 38%가 넘는 1450억달러(약 177조원)에 이른다.
가디언은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보고서를 인용해 “저개발 국가들이 부채 상환 불능으로 중국에 자산 통제권을 넘겨야 하는 부채함정 외교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파키스탄과 스리랑카는 수년 전 대중국 부채를 갚지 못해 군사기지와 항구 운영권을 중국에 양도한 바 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