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남중국해에 건설한 인공섬 중 3곳에서 군사화를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20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존 아퀼리노 미군 인도·태평양사령관은 남중국해를 정찰하는 해군 초계기 P-8A 포세이돈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중국은 영유권 분쟁 지역인 남중국해에 건설한 인공섬 중 최소 3곳을 완전히 군사화했다”고 밝혔다.
군사화가 완료된 곳은 스프래틀리(중국명 난사, 필리핀명 칼라얀, 베트남명 쯔엉사) 군도의 마스치프 암초(중국명 메이지자오)와 수비 암초(중국명 주비자오), 피어리 크로스 암초(중국명 융수자오)다. 이곳은 국제법상 영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그러나 중국은 이들 섬을 대항·대공 미사일 시스템과 레이저, 전파방해 장비, 전투기 등으로 무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퀼리노 사령관은 “이는 중국의 군사력 강화 일환으로, 인근 모든 국가를 위협하는 공격적 움직임”이라며 “우리는 지난 20년 동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국의 가장 큰 군사력 증강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민간·군용 선박과 항공기들이 해당 수역을 운항할 경우 중국의 미사일 사격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AP통신은 중국의 이같은 움직임은 시진핑 중국공산당 총서기가 앞서 밝힌 남중국해 인공섬을 군사기지로 전환하지 않겠다고 확언한 것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남중국해 해안을 따라 U자 형태로 9개의 선(구단선)을 그어 자국 영해라고 주장하며,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대만 등 주변국과 장기간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는 2016년 7월, 필리핀의 제소로 진행된 재판에서 9단선을 인정할 수 없다고 판결했지만 중국은 이를 수용하지 않고 있다.
미국은 남중국해 인근 동맹국을 보호하고 이 지역의 항행의 자유을 보장하기 위한 군사 작전을 펼치며 중국을 견제하고 있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