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호주 정부가 안보상 우려로 정부 기관 건물에 설치된 중국산 감시 카메라와 영상 기록기를 전면 철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9일(이하 현지시간) 호주 일간 ‘디오스트레일리안’에 따르면, 리처드 말스 호주 국방장관은 이날 "상당 기간 중국산 감시 장치가 설치돼 운용돼왔다"며 "현재 모든 국방부 건물 내 감시 카메라를 전수 조사 중이며 모두 철거될 것"이라고 밝혔다.
제조사는 중국 하이크비전(Hikvision)과 다후아(Dahua)로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통신기업이다.
최근 호주 의회에서는 이들 업체의 감시 장비가 호주 국방부 외에 다른 주요 정부 청사 등에 1천 대 가량 설치돼 있음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외교·법무·재정·에너지 등 다른 정부 부서들도 실태 조사를 거쳐 해당 장치에 대한 대대적인 철거 작업을 벌일 것으로 알려졌다.
호주안보정보원(ASIO)의 마이크 버저스 원장은 "기술이 아니라 그 기술로 수집된 정보가 어디에 축적되고 어떻게 사용되느냐가 문제"라면서 하이크비전 등 제품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중국산 감시 장치를 철거하는 것은 국가 안보 차원에서 취한 정당하고 투명한 조치인 만큼 중국과의 관계 악화를 초래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하이크비전과 다후아는 중국국가정보법에 따라 중국 정부에 각종 정보를 제공할 법적 의무를 지고 있다.
앞서 미국과 영국도 이들 중국산 감시 장비 사용을 금지한 바 있다.
미국 상무부(UDC)에 따르면 하이크비전과 다후아는 신장 지역 소수민족인 위구르족에 대한 중국 정부의 감시 사건에 연루돼 있다.
미국은 지난해 11월 두 회사가 만든 장비들이 "국가 안보에 용납할 수 없는 위험"을 가한다며 수입을 금지했다. 영국 의회도 정부에 하이크비전과 다후아 제품의 사용 금지를 촉구했다.
하이크비전과 다후아는 모두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CC)의 관리 대상이다. 미국은 이들 업체가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가 포함돼 있다고 보고 있다.
호주의 결정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마오닝(毛寧) 대변인을 통해 “국가 안보 개념을 과도하게 확장하고 국가 권력을 남용해 중국 기업을 억압하고 차별하는 잘못된 행위를 반대한다"고 반발했다.
구본석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