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세계 각국이 개인정보 보호와 사이버 보안 등을 이유로 중국의 짧은 영상(숏폼) 플랫폼 ‘틱톡(tiktok)’ 사용을 잇따라 금지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에 이어 캐나다·일본 정부도 중국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
캐나다 매체 내셔널포스트 등에 따르면 캐나다 연방정부는 28일(이하 현지시각)부터 정부에 등록된 모든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한다.
캐나다 연방정부는 전날 성명을 통해 "정부에 등록된 모든 기기에서 틱톡 다운로드를 차단하는 한편 기존에 설치된 앱은 삭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틱톡의 데이터 수집 방식이 이용자들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는 내부 검토 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캐나다 정부에서 사용하는 전자 기기에는 틱톡 앱 다운로드가 불가능하고, 기존에 설치된 앱은 제거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캐나다의 사생활 보호기관인 프라이버시 위원회도 틱톡의 개인정보 보안 위험 여부를 조사 중이다.
캐나다 정보 당국은 틱톡에 대한 내부 검토를 통해 사생활과 보안에 관해 허용할 수 없는 수준의 위험이 수반된다고 보고 있다.
같은 날 일본도 정부 공용 단말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27일 기자회견에서 틱톡과 관련해 “정부 직원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 공용 단말기 가운데 기밀정보를 다루는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고 밝혔다.
히로카즈 장관은 발언에서 “틱톡 외에 다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도 금지하고 있다”며 중국을 겨냥한 조치가 아니라는 점도 내비쳤다.
앞서 미국과 EU도 틱톡 사용 금지 결정을 내렸다.
EU 행정부 역할을 하는 집행위원회는 다음달 15일부터 집행위에 등록된 개인 및 업무용 휴대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한다고 지난 23일 발표했다.
미국 연방 정부와 일부 주정부도 틱톡을 통해 이용자 정보가 중국 정부에 넘어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지속되자 정부 전자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했다.
미 상하원에서는 틱톡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법안이 동시에 발의되기도 했다.
세계 주요국의 잇단 틱톡 금지령은 정부 기밀과 개인 정보가 중국 정부에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지난 2020년 방송통신위원회가 틱톡에 개인정보보호 법규 위반으로 1억8천만원의 과징금과 6백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 바 있다.
한상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