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인공지능(AI) 연구소 오픈AI가 개발한 대화형 챗봇 챗GPT의 열풍이 거센 가운데, 인간의 삶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의 부정확성으로 인한 가짜뉴스, AI 보고서 대필, 창작물 저작권 논란 등 각종 사회적 혼란을 동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AI 오남용 사례는 이미 교육·출판·미디어 등에서 드러나고 있다.
최근 한 일본인은 네이버의 AI 번역기 ‘파파고를 이용해 한국 웹툰을 자국어로 번역, '한국문학번역상 웹툰 부문 신인상'을 수상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됐다.
이에 한국문학번역원은 “번역신인상의 경우, AI 등을 이용하지 않은 자력 번역으로 수상 기준을 규정하고 수상작은 관련한 확인 절차를 밟는 등 제도적으로 보완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내의 한 국제학교에서는 일부 학생이 챗GPT를 활용해 작성한 영문 에세이를 제출했다가 ‘0점을 받은 사례도 있었다.
이 같은 사례는 국내외 교육계 전반에서 확산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미국 뉴욕시의 한 공립학교는 챗GPT 사용이 창의성 및 주도적 학습 등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이유로 학생들의 이용을 금지했다.
챗GPT는 데이터 학습을 통해 문법적으로 완벽에 가까운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지만 현 단계에서는 정보의 정확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챗GPT가 전달하는 정보의 출처 확인이 어렵다는 점에서 표절 논란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 언어학자이자 노엄 촘스키(사진) 매사추세츠공대(MIT) 명예교수는 챗GPT에 대해 '첨단기술 표절 시스템'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샘 알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도 "중요한 일을 챗GPT에게 의존하는 것은 실수"라며 "아직 안정성·정확성과 관련해 할 일이 많이 남았다"고 인정한다.
챗GPT는 다음에 나올 단어를 AI가 예측하도록 훈련돼 다른 언어기반 모델과 마찬가지로 사실을 꾸며낼 수 있다.
이에 대해 미라 무라티 오픈AI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챗GPT가 악용되는 사례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그에 대한 규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 뉴시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