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세계보건기구(WHO)가 설탕의 대체제인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2B군)으로 분류했다. 아스파탐은 탄산음료 등 '제로 칼로리' 표방한 다양한 식·음료 제품에 사용된다.
14일(현지시간)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RAC)와 WHO·유엔식량농업기구 공동 산하기구인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아스파탐의 유해성 평가 결과를 담은 보도자료를 통해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 분류군인 2B에 포함시킨다’고 밝혔다. 다만, 아스파탐의 기존 일일섭취허용량(1㎏당 40㎎)은 그대로 유지된다.
IRAC는 발암 위험도에 따라 △확정적 발암 물질은 1로 △발암 추정 물질은 2A로 △발암 가능 물질은 2B로, 분류 불가는 3으로 분류하고 있다.
△1군에는 술·담배, 가공육 등이 속하고 △2A군에는 적색 고기와 고온의 튀김 등이 △2B군에는 김치나 피클 등의 절임채소류가 포함된다. 2B군은 발암 가능성이 있지만 증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분류된다.
IRAC 등은 기존 연구논문과 각국 정부 보고서와 식품 규제를 위해 수행된 기타 연구 등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아스파탐의 유해성을 조사했다.
WHO는 “검토 논문 중 아스파탐이 간암과 관련성이 있다는 취지의 내용도 있었다”고 전했다.
프란체스코 브랑카 WHO 영양·식품안전국장은 이번 발표와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아스파탐은 다양한 식품에 들어 있으며 과다 섭취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IARC 등은 다만 이번 결정에도 아스파탐의 기존 일일섭취허용량은 그대로 유지한 데 대해 “관련 정보 부족으로 허용을 금지할 충분한 이유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