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지난해 규모 7.1의 지진이 발생했던 일본 미야자키현 해역 인근에서 규모 6.9의 지진이 발생해 난카이 대지진 전조 여부에 대한 긴장이 다시 일고 있다.
일본 규슈 동쪽 미야자키현 앞바다에서 13일 규모 6.9 지진이 발생해 쓰나미 주의보가 발령됐다.
‘NHK’ 등 현지 보도에 따르면, 일본 기상청은 이날 오후 9시19분쯤 미야자키현 앞 해역 휴가나다에서 규모 6.9 지진이 관측됐다고 발표했다. 진원 깊이는 30㎞다.
일본 기상청은 지진 직후 미야자키현과 시코쿠 고치현에 쓰나미 주의보도 발령했다. 예상 최고 높이는 1m다.
이번 지진으로 미야자키현 북부 평야 지역에는 ‘진도 5약’의 흔들림이 감지됐다. 미야자키현에서 진도 5약 이상의 흔들림이 감지된 건 지난해 8월 8일 규모 7.1 지진 이후 처음이다.
이번 지진으로 난카이 대지진 전조 여부에 대한 불안도 일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8월 미야자키현 해역 지진 당시 ‘난카이 대지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평소보다는 높다며 ‘난카이 해곡 지진 임시 정보’(거대 지진 주의)를 발표한 바 있다.
난카이 대지진은 수도권 서쪽인 시즈오카현 앞바다에서 시코쿠 남부 해역까지 이어진 난카이 해곡에서 100~200년 간격으로 발생하는 대지진이다.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하면 쓰나미 등으로 최악의 경우 32만명 이상의 희생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도 있다.
난카이 대지진은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전문가들은 난카이 대지진은 발생 시 최대 규모 9를 기록할 수 있고 그 영향은 한국도 피해갈 수 없어 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지난해 8월 규슈 남부에서 규모 7.1의 지진이 발생했을 당시 한반도는 위아래로 1cm씩 움직였던 것으로 분석됐다. 만약 규모 9.0의 지진이 발생하면 규모 7.1의 지진보다 에너지가 천배 규모로 커지고, 땅의 흔들리는 정도는 30배로 커져 한반도는 위아래로 30cm씩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은 거리가 1,200km 떨어져 한국에 대한 진폭이 크지 않았지만 한반도와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하게 된다면, 후폭풍이 얼마나 클지 알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