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 싱크탱크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에 중국공산당의 개입이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폭스뉴스’는 중동 미디어연구소(Middle East Media Research Institute·이하 MEMRI)의 애나 마자르-바르두치 연구원을 인용해 이번 결정이 중국의 동북아 영향력 확대 전략과 관련이 있다고 보도했다.
MEMRI는 1997년 이스라엘 정보요원 출신과 미국인 정치학자에 의해 설립된 보수 성향 싱크탱크로, 이스라엘과 미국 안보 네트워크와도 연계된 곳이다.
바르두치 연구원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윤 전 대통령의 외교·안보 정책은 중국공산당이 오랫동안 지지해온 친중 인사들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이었다”며 그의 정책은 “중공이 한국 내 친중 세력을 키우려는 장기적인 전략에 큰 위협이 됐다”고 했다.
그는 “중공은 경제 협력, 정치 자금, 은밀한 이익 제공, 심지어 불법 성접대까지 동원해 한국의 정치인들을 길러왔다”며 “이는 한미 동맹을 약화시키고 한국의 전략적 독립성을 해치며 미국을 배제한 채 중국의 지역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시도”라고 지적했다.
바르두치 연구원은 "친미 성향의 윤 전 대통령은 물론,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까지 탄핵해 몰아낸 것은 중국이 한국에 깊이 침투했음을 반영한 것이며, 이는 하이브리드 전쟁 또는 초한전 전략의 일환”이라고 진단했다.
바르두치 연구원은 사법 시스템의 무기화도 지적했다. 중공이 지난 두 번의 한국 총선에도 개입했으며, 이를 통해 부정 선거를 유도하고 친중 세력을 정치권에 진입시켰다는 것이다. 그는 또 “중국 관영 매체들이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만족감을 드러낸 점도 눈여겨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바르두치 연구원은 “프랑스, 루마니아 등에서도 유력 보수 정치인의 출마가 차단되고 있는 점도 짚으며 ”세계적으로 법률 시스템이 정치적 도구로 전락하고 있는 징후”라고 경고했다.
국내 일부 정치 평론가들은 이러한 주장이 단순 음모론이 아닌, 국제 정세 속 정보전, 여론전의 일환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증거나 실질적 개입 증거는 제시되지 않았다.
이번 사안을 계기로, 한국 정치에 대한 외국 세력의 개입 가능성 및 정보 보안 시스템 전반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폭스뉴스는 중국의 정치 개입과 관련해 중국 대사관과 한국 대사관에 문의했으나 양측 모두로부터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