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20(일)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알몸 김치’ 이어 ‘세균 김치’... 중국산 이래서 먹겠나?

강주연 기자  |  2021-05-21
인쇄하기-새창



▲ 비위생적 제조 방식으로 논란이 된 '알몸 김치' 영상 컷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SOH] '알몸 김치'로 중국산 김치 위생 안전이 논란이 된 가운데, 중국산 김치 289개 제품 중 15개 제품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다.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난 3월 12일부터 지난 7일까지 실시된 김치 등 수입식품 통관 및 유통단계 검사 강화 조치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


55개 제조업소에서 수입 신고한 중국산 김치 289개 제품을 대상으로 보존료와 타르색소, 식중독균인 여시니아엔테로콜리티카(여시니아) 등 5개 항목을 검사한 결과, 15개 제품(11개 제조업소)에서는 식중독균인 '여시니엔테로콜리티카'(이하 여시니아)가 검출돼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여시니아는 0~5도의 저온에서도 자라는 식중독균으로 이 균에 감염되면 설사, 복통, 두통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명은 각각 ▲배추김치 ▲박향미 대박김치 ▲서진김치 ▲초향김치 ▲해인김치 ▲민수네 김치 ▲맛기찬 트러스터 김치 ▲한길김치 ▲한아름 일품 김치 ▲고랭지김치 ▲들녘김치 ▲산골김치 ▲선인배추김치 등이다.


또한 절임배추 4개 제품 중 1개 업소의 2개 제품에서는 보존료인 '데하이드로초산'이 검출됐고, 국내에 유통 중인 중국산 다진 마늘에서는 세균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제품도 적발됐다. 데하이드로초산은 국내에서 사용이 금지된 보존료다.


식약처는 전날부터 국내 최초로 수입되는 모든 김치의 검사항목에 여시니아 검사를 추가했다. 또 여시니아가 2회 이상 검출된 5개 해외 제조업소 김치를 검사명령 대상품목으로 지정해 정밀검사를 받은 뒤에야 수입을 허가하기로 했다.


이번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의 정보는 수입식품정보마루(impfood.mfds.go.kr → 안전정보 → 수입식품부적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중국의 김치공장에서 녹슨 포크레인과 한 남성이 알몸으로 김치를 절이는 비위생적인 영상이 공개돼 중국산 김치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커지고 있다.



강주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509 정부, 신종 감염병 대비 3세대 두창·탄저 백신 비축
디지털뉴스팀
25-04-19
1508 국정원, 韓 언론사명 도용한 中 사이트 다수 적발
강주연 기자
25-04-19
1507 '국민수사대' 출범... “법치·공정·상식의 회복, 시민권....
디지털뉴스팀
25-04-18
1506 전국 대학가 ‘장기기증’ 열풍... 3~4월 2300명 기증 등록..
디지털뉴스팀
25-04-16
1505 환경부, 층간소음 무료 상담·측정 서비스 확대
디지털뉴스팀
25-04-16
1504 경북 휩쓴 산불로 농축산 피해 1,700억원↑
디지털뉴스팀
25-04-14
1503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2차 피해 우려로 주민 23....
강주연 기자
25-04-12
1502 흉기소지죄 시행 첫날... 중국인, 청계천서 흉기로 행인....
디지털뉴스팀
25-04-10
1501 中 고교생도 안보시설 무단 촬영... 관광비자로 들어와 ....
한지연 기자
25-04-09
1500 21대 대통령 선거 '6월 3일' 확정
디지털뉴스팀
25-04-09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312,173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