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관련해 부작용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최근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20대 남성이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으로 소장이 괴사돼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국내 언론들에 따르면, 전남 순천의 한 초등학교 교사인 24세 A씨가 화이자 백신 1차 접종한 후 약 한달 뒤인 지난 3일 광주의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사망했다.
A씨는 화이자 백신의 대표적 부작용인 혈전이 발생했고, 그 혈전이 혈관을 막아 소장이 괴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A씨는 지난 7월 28일 순천의 한 동네 병원에서 화이자 백신 1차 접종을 받았다.
당시 ‘1차성 레이노(손끝 쪽 혈관 연축)’와 ‘기무라 병(귀 주위 염증 질환)’을 앓고 있었지만, 술과 담배를 멀리하고 9월 입대를 앞둔 만큼 건강해 담당 의사도 접종을 권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접종 후 일주일 간 가벼운 소화불량이 나타나 소화제를 복용했지만 지난달 10일 극심한 통증이 발생해 근처 종합병원에 입원했다.
의사는 A씨에 대해 “백신 부작용으로 간이 많이 부어 있다”며, 큰 병원으로 옮길 것을 조언했다.
이에 A씨는 대학병원을 찾았으나 병원 측은 백신 접종과 관계없고 기저질환으로 인한 통증일 뿐이라며 약 처방만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A씨는 다음날에도 고통을 호소했고 처음 진료를 받았던 종합병원 응급실에 다시 실려갔다.
병원 측에서는 “이것은 백신 부작용이 맞고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라며 대학병원 응급실로 A씨를 이송시켰다.
A씨는 결국 지난달 12일 간문맥(혈관)을 막아 소장이 썩어 전체 소장의 절반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
이후 일반 병동으로 옮겨지며 상태가 나아지는 듯했으나 주말을 넘긴 뒤 심한 출혈로 정신을 잃어 재수술을 반복하다가 지난 3일 오후 10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의 사연은 그의 여동생이 지난달 28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글을 올리면서 알려졌다.
A씨 여동생은 “병원에서는 부작용이라기에는 기간이 너무 길고 기저질환이 있다는 이유로 (백신 부작용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며 “백신 부작용이 아니고서야 어떻게 멀쩡하게 잘 살던 사람의 간이 망가지고 소장이 썩을 수 있느냐”고 밝혔다.
의료진은 A씨 사례에 대해 기존의 같은 사례가 없다는 이유로 백신 부작용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A씨 유족 측은 “모두에게 코로나가 처음인데 이전 사례를 어디에서 찾겠냐”고 지적했다.
이어 “백신으로 한두 명이 죽고 아픈 게 아니지 않나”며, “(정부는) 사태의 심각성을 인정하고 더 이상 억울한 일이 없도록 부작용에 철저히 대응해달라”고 호소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