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수가 226만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4.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주민은 국내 거주 90일을 초과한 외국인, 귀화자와 그 자녀를 뜻한다.
8일 행정안전부(행안부)가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2022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국내 장기 거주 외국인 주민 수는 225만8248명이다. 전년보다 12만3679명(5.8%) 늘었다. 관련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 규모다.
2019년 222만명까지 증가했던 외국인 주민은 2020년부터 조금씩 줄다가 3년 만에 다시 늘었다. 행안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 주민 감소세가 멈추고, 가파르게 반등하는 추세로 돌아섰다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유학생과 외국 국적 동포가 전년 대비 각각 3만2709명(20.9%), 2만9000명(7.9%) 늘어난 것이 전체 외국민 주민 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는 18만9397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최초로 결혼이민자 수(17만5756명)를 넘어섰다.
유형별로는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가 175만2346명, '한국 국적을 취득한 자'가 22만3825명으로 집계됐다. 국내에서 출생한 '외국인 주민 자녀'는 28만2077명이다.
지역별로는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외국인 주민 수가 증가했다. 특히 경기(3만7010명), 서울(1만5546명), 인천(1만2171명)등 수도권에는 전체 외국인 주민 중 59.4%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지역에서는 안산이 10만1850명으로 가장 많았고 수원(6만8633명), 시흥(6만6955명) 순이었다. 안산의 외국인 주민 비중은 전체 주민의 14.2%를 차지한다.
외국인 주민 비율이 10% 이상인 지역은 11곳이었다. 충북 음성이 15.9%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경기 안산·전남 영암(각 14.2%), 충북 진천·서울 영등포구와 구로구(각 12.5%) 등의 순으로 높았다.
그밖에 외국인 주민 1만명 이상 또는 지역 인구 대비 5%이상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집중거주지역'도 지난해 대비 11개 늘어났으며 경기, 서울, 경북 순으로 나타났다.
한상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