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전공의 복귀와 의대 정원 증원 철회 등을 요구하는 전국 의대 교수들이 줄사직에 나서 환자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25일 의대 교수들의 자발적인 사직과 외래 진료 축소는 예정대로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대부분에서 소속 교수들이 사직서 제출을 시작했거나, 사직하기로 결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국의대교수비대위)는 이날 성명을 내고 “오늘 사직서를 제출하겠다”며 “교수직을 던지고 책임을 맡은 환자 진료를 마친 후 수련병원과 소속 대학을 떠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행동에는 강원대, 건국대, 건양대, 경상대, 계명대, 고려대, 대구가톨릭대, 서울대, 연세대, 울산대, 원광대, 이화여대, 인제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한양대 등 19개 대학이 참여했다.
아직 사직서를 제출하지 않았지만 ‘줄사직’에 동참할 의사를 밝힌 교수들도 있어 숫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전의교협은 “전날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만났지만 간담회에서 입학정원 및 배정은 협의 및 논의의 대상도 아니며 대화하지도 않았다”며 자발적인 사직서 제출과 외래진료 축소를 예정대로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입학정원의 일방적 결정과 연이어 대학이 도저히 감당하기 어려운 정원 배분으로 촉발된 교수들의 자발적 사직과 누적된 피로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할 수밖에 없는 주52 시간 근무, 중환자 및 응급환자 진료를 위한 외래진료 축소는 금일부터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했다.
환자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환자의 불안과 피해를 가중하는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 장기화에 강한 유감을 나타내며, △의료진의 조속한 복귀와 △양측이 갈등을 내려놓고 환자 중심의 의료 환경 구축에 나서길 바란다”고 밝혔다.
다만 양측은 당시 의료 공백 상황을 살피면서 전공의 이탈 문제 해결을 위한 '대표성 있는 협의체' 구성에는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날부터 가능한 미복귀 전공의 대상 면허정지 행정처분을 개시하지 않기로 한 상태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