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베이징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의료 서비스 부족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각지에서 이를 지원할 의료진을 파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베이징의 한 병원 관계자를 인용해 "병원 내 의료진 상당수가 감염돼 지난 3주 간 수술과 외래 환자 진료가 다수 취소됐다“며 ”응급실 등 병원 진료의 70%를 산둥에서 온 의료진에 의존하고 있다“고 전했다.
산둥성은 최근 500명의 의사와 간호사를 베이징에 파견했으며 장쑤성에서도 의료진 수십 명이 차출됐다.
산둥대 제2병원 관계자는 “이번 파견은 보건 당국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며 “언제 복귀할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장쑤성 난징의 한 병원 의사는 SCMP에 “7개 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의사와 간호사, 유전자증폭(PCR) 검사 요원 등 총 54명을 지원하라는 당국의 요청을 받아 27명이 차출됐다"고 전했다.
이러한 상황은 2년 전 코로나19 감염자 폭발로 극심한 의료 인력 부족을 겪었던 우한 사태를 연상시킨다. 당시 전국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4만2천명이 우한에 파견됐다.
그 외 지난 4월 도시가 봉쇄된 상하이와 지린성 창춘에도 여러 지역의 의료 인력이 파견된 바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베이징에 대한 이러한 지원을 쉬쉬하는 분위기다.
SCMP는 “앞서 후난성에서 중환자 치료 의사 등 178명을 베이징에 보낼 것을 지시하는 국무원 내부 문건이 유출됐는데, 해당 내용을 ‘외부로 공개하지 말라’는 요구가 담겨 있었다”고 전했다.
현지 매체 ‘경제관찰보’도 전날 "오늘 후난성에서 파견한 162명의 중증 호흡기 질환자 치료 전문가 등 의료진이 베이징에 도착했다"며 "산둥, 장쑤, 푸젠 등지에서도 이러한 인력을 파견, 모집 중"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이달 들어 베이징에서 응급환자와 중증환자가 폭증해 병원마다 진료 압박을 받고 있다"며 "각지의 인력 지원이 베이징의 의료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도 전했다.
하지만 이 기사는 얼마 뒤 당국의 검열로 삭제됐다,
베이징에서는 이달 들어 코로나19 감염자가 급증했고, 감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망자도 크게 늘어 병원 안치실과 화장장이 포화된 상태다.
이런 가운데, 중국 중증 의학의 대부로 불리는 천더창(90) 전 베이징 셰허의원 초대 주임을 비롯한 의료계 권위자들과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마스코트를 디자인한 우관잉(67) 칭화대 교수, 경극 배우 추란란(40) 등 저명인사들이 잇따라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사망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시기적 특성으로 볼 때 코로나19 감염에 의한 것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현지 매체들은 이들의 사인이 ‘기저질환’이나 ‘심한 감기’라고 주장했다.
중국 방역 당국은 이런 상황 속에서도 “지난달 19일 이후 코로나19 감염 사망자는 16명뿐이고, 지난 20일 이후 사흘 연속 추가 사망자는 없다”고 우기고 있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