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사우디아라비아 등 일부 국가들이 중국공산당(중공)의 위구르인 탄압에 협조하고 있다고 미국 ‘NBC’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BC는 미국 우드로윌슨센터 산하 키신저미중연구소의 최신 보고서 '강철 만리장성'(Great Wall of Steel)을 인용해, “중국 국가안전부가 중동 등 일부 국가들의 도움을 받아 세계 곳곳에서 위구르인을 억류하고 송환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공은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에서 무슬림 소수민족인 위구르인들에 대한 탄압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져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다.
해외에 망명 중인 위구르인들은 각국에서 중공의 박해 상황을 알리며 도움을 호소하고 있다. 중공이 해외의 위구르인에게까지 손을 뻗치는 것은 이를 막기 위한 위한 것으로 보인다.
중공의 이러한 단속에 협조하는 국가는 경제 협력 관계가 긴밀한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등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에 있는 위구르인 5천500여명은 중공의 표적이 됐고, 중국에 남아 있는 가족들은 사이버 공격과 협박을 받았다.
해외에서는 지난 수년 간 1천500여명 이상의 위구르인이 붙잡혀 구금되거나 중국으로 강제 송환됐다. 송환된 이들은 감금 상태에서 고문을 받게 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사우디 정부는 이달에도 지난 13일 위구르족 여성과 딸을 중국으로 강제 추방했다.
이 여성의 남편과 또 다른 위구르인은 사우디에 구금돼 있으나 정식으로 기소된 것인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고 NBC는 전했다.
워싱턴DC 소재 '공산주의 희생자 기억재단'의 중국전문가 에이드리언 젠즈는 “중공 정부는 경제력과 인프라 건설을 무기로 이슬람 국가들이 위구르 탄압에 동조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 인권 단체와 미국 등 서방 진영은 신장 지역에서 최소 100만 명 이상의 위구르족과 기타 무슬림 소수민족이 강제수용소에서 당국의 탄압을 받고 있다는 의혹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 연합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