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최근 중국 소셜미디어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백혈병’이 발생했다는 글이 주목받고 있다.
국내 언론에 따르면 최근 중국 ‘웨이보(SNS)’에서 ‘백신 접종 후 백혈병 발병’ 해시태그(#)가 화제가 되면서 백신 부작용 관련 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5월 초 웨이보에는 “전국 31개 성·시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백혈병 발병 사례가 1천여 건 보고됐으나 공개되지 않고 있다”는 글이 게시됐다.
게시자는 “백혈병 발병자들은 작년에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대도시 거주자들로, 직업이 다양하고, 연령도 3∼70세로 광범위하다”고 밝혔다.
또 “이들은 기저 질환이 없고, 건강했지만 백신 접종 후 고열, 기침, 두통, 설사, 호흡 곤란 등 증세가 나타났고 급성 림프성, 골수성 백혈병 등의 판정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발병은 주로 2차 접종 후 나타난 것으로 전해졌다.
게시글은 검열 당국에 의해 곧 삭제됐지만 웨이보에는 백신 부작용을 경험한 글들이 계속 이어졌다.
한 네티즌(22)은 “건강했던 아버지(48)가 작년 1차 백신 접종 후 7일 동안 전신 근육통을 겪었으며, 11월 19일 3차 접종을 마친 뒤 11일 만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도 “작년 2차 백신 접종 후 자주 코피를 흘렸고 지난 3월 폐렴을 동반한 혈관암 판정을 받아 수술을 받았다”면서 최근 주민위원회가 3차 접종을 요구하고 있지만 (부작용 우려로)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이에 시민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지만 중국 당국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부작용과 관련된 공식 데이터와 관련해 무려 1년 이상 비공개 방침을 고수 중이다.
중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면역계획 전문가 왕화칭은 지난 27일 정례 브리핑에서 백신 접종과 백혈병의 연관성을 묻는 기자 질문에 “백신 부작용 여부는 시간적 상관관계, 생물학적 합리성, 증세의 일관성, 발생의 빈도, 백신이 유일한 발병 요소인지 등의 다각적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국은 시노펙과 시노팜 등 자국 의료업체들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중국은 시노팜 등 자국 의료업체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 공식적인 집계에 따르면 89% 이상의 접종률(약 33억 8000만 회 투여)을 기록 중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시노팜 코로나19 백신의 심각한 부작용에 대해 지적한 전문가의 글이 재조명되고 있다.
대만 ‘자유시보’에 따르면 지난해 1월 4일 상하이 질병통제센터 백신 전문의 타오리나는 앞서 4일 웨이보에 시노팜 백신의 부작용 설명서 사진을 올린 뒤 “접종 후 발생 가능한 부작용이 73종에 달한다”면서 “이 백신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지 못한 백신”이라고 혹평했다.
타오 박사는 “부작용은 국소 또는 전신으로 발생하는데, 접종 부위 통증, 두통 외에도 드문 고혈압, 시력 감퇴, 미각 상실, 월경 지연 및 요실금 등 심각한 부작용도 포함돼 있다“며 “이 백신의 부작용은 단연코 전무후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이 발생하더라도 업체 측은 보상하지 않아도 된다”면서 “무료 접종이므로 지자체가 보상해줘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