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이 대량의 온실가스를 발생시킨다는 지적이 나왔다.
중국 베이징화공대, 광둥기술대, 미국 미시간대 연구진은 최근 ‘코로나19 PCR 검사의 잠재적 환경적 영향’에 대한 공동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지난 2일 과학 저널 ‘환경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 실린 이 논문에 따르면, 중국은 2020년 1월~올해 4월 11일까지 90억회 이상의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시행했으며, 그로 인해 540만t의 온실가스가 생성됐다.
연구진은 “코로나19 PCR 검사 키트의 제조부터 사용, 폐기에 이르는 ‘생애 주기’를 추적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PCR 검사 1회 시행 시 약 612.9g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이는 중국인이 하루에 전기를 사용해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약 절반에 해당된다.
연구진은 특히 고온 증기로 멸균한 뒤 850∼1200도 고온 소각로에서 처리하는 검사 키트의 폐기 과정에서 가장 많은 71.3%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고 분석했다.
검사 키트의 생산과 운송 과정에서도 각각 14.5%와 13.3%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공장에서 검체 실험실까지의 평균 운송 거리는 약 5960㎞로 알려졌다.
또한 PCR검사 키트는 디젤 차량인 의료용 콜드체인 물류 차량으로 수송되는데, 운송 도중 영하 20도를 유지해야 하기에 에너지 소모가 더 크다.
90억회라는 중국의 PCR 검사 횟수는 국제 통계 사이트 아워월드인데이터(OWID)의 자료를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연구진은 ‘검사 이후 폐기 과정에서의 환경적 영향은 관련 자료를 이용할 수 없었다’는 점을 근거로, “실제 온실가스 배출량은 더 클 수 있다”고 부연했다.
중국은 시진핑의 ‘제로 코로나’ 정책 고수로 2년 넘게 지역별 대규모 집단 PCR 검사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세계 전체 배출량의 33%(119억t)에 달했다. / 서울신문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