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홍콩 당국이 ‘홍콩 국가(國歌)’ 검색 시 민주화 시위대 노래가 상단에 노출되는 것을 수정해달라고 구글 측에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12일 홍콩 공영방송 ‘RTHK’에 따르면 크리스 탕 홍콩 보안국장은 이날 “구글에 ‘홍콩 국가’를 검색했을 때 검색 결과 최상단에 중국 국가(의용군 행진곡)가 나오게 해달라고 구글 측에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며 “이를 시정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탕 국장은 “우리는 구글 측의 거부를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구글의 결정은 많은 홍콩인의 마음을 상하게 했다”고 주장했다.
현재 구글에 ‘홍콩 국가’를 영어로 검색하면 홍콩 민주화 시위대가 2019년 불렀던 노래 ‘글로리 투 홍콩’이 검색 결과 상단에 나타난다.
이 노래는 가사에 홍콩 독립을 위해 싸우자는 내용이 담겨 2020년 국가보안법 제정 이후 금지곡이 됐다.
구글 측은 이번 요구에 “검색 결과는 사용자들의 선호도가 반영된 알고리즘에 의한 것”이라고 일축하며 인위적 변경은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사용자들이 많이 또는 자주 선택한 결과가 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를 강제로 바꿀 수 없다는 것이다.
홍콩 당국이 바꾸려는 ‘홍콩 시위대 노래’ 문제는 지난 11월 13일 한국 인천에서 열린 ‘2022 아시아 럭비 세븐스시리즈’ 남자부 한국–홍콩 결승전 때부터 시작됐다.
당시 주최 측이 중국 국가 대신 2019년 홍콩 민주화 시위의 주제가로 알려진 ‘홍콩에 영광’를 연주해 논란이 일었다.
당시 주최 측인 아시아럭비연맹은 ”홍콩 국가 오디오 파일을 못 받은 대한럭비연맹 직원이 인터넷에서 ‘홍콩 국가’를 검색한 뒤 상단에 노출된 ‘홍콩에 영광’ 오디오 파일을 내려받아 실행하면서 일어난 실수”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홍콩 당국은 이후 동일 사고를 막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올림픽위원회를 통해 모든 국제경기 연맹에 중국 국가를 녹음한 파일을 제공, 담당자의 수령 여부 확인까지 요청했으며 △홍콩 국가대표 선수들에게 대회에서 국가가 잘못 연주될 경우 즉시 손으로 ‘T’자 수신호를 표시해 오류가 있음을 알리고 정정되지 않을 경우 곧바로 경기장을 퇴장하도록 했다.
하지만 홍콩 당국의 노력에도 같은 사고가 또 발생했다. 지난 12월 2일 두바이에서 열린 ‘아시안 클래식 파워리프팅 챔피언십’ 시상식에서 중국 국가 대신 ‘홍콩에 영광’이 흘러나온 것.
홍콩 당국은 해당 사건 배후에 국가법 위반 음모가 있는지 엄중 수사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주의와 홍콩의 독립을 지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홍콩에 영광’은 토마스(가명)라는 한 음악가가 작곡한 것으로 온라인을 통해 처음 알려졌다.
2019 홍콩 민주화 운동 당시 널리 알려졌지만 2020년 홍콩국가보안법을 시행한 직후 금지곡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