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공산당(중공)이 ‘종교의 중귝화’를 가속화 하는 가운데 신앙인들에 대한 탄압이 갈수록 치밀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 종교 탄압 감시 기구 국제기독연대(ICC·International Christian Concern) 관계자(익명 요구)는 최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내 기독교인에 대한 감시 수준은 인공지능(AI)이 투입될 정도로 치밀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인구 1억명에 달하는 중국 허난성은 교회 등 종교 시설의 예배에 참석하는 신자들에게 개인정보 제출을 요구하고 있다.
예배에 참석하려면 먼저 허난성 민족종교사무위원회가 개발한 스마트 종교 애플리케이션(앱)에 이름과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직업 생년월일 등 개인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ICC 관계자는 “시진핑 정권은 종교적 헌신 행위를 정부에 대한 위협요소로 간주한다”며 3기 통치가 본격화되면서 기독교 등 종교에 대한 압박 수위를 더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 내 종교인들은 (당국에 의한) 장기적출 (탄압)의 희생자가 될 수도 있다”며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박해받는 교회를 지원하는 국제 단체인 ‘릴리스 인터내셔널’은 올해 중국을 ‘기독교 박해 특별 관심국’으로 지정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21년 5월부터 자국 내 종교인에게 민족통합과 국가안보 보호의 책임을 의무화하는 ‘종교인관리규정’을 시행했다. 총 7장 52조로 이뤄진 규정은 종교인의 권리와 의무, 행동강령 등을 적시했다.
이에 따르면 종교인들은 국가안보와 공공안전을 훼손하는 활동은 하지 말아야 하며, 종교에 의한 극단주의를 조장하거나 지원해서는 안 된다.
국가 분열 행위, 외국 세력의 조종을 받거나 외국 종교단체의 지정을 받는 행위 등도 금지 행위로 명시했다.
종교인은 중공의 지도를 옹호하며 사회주의 핵심 가치관을 실천해야 한다는 조항도 포함됐다. 이 외에 종교인 인증서 관리 강화, 종교 행위를 열 수 있는 장소 제한 등도 규정했다.
특히 눈에 띄는 대목은 '종교의 중국화'를 강조한 부분이다.
중국 당국은 “종교 연구를 통해 중국 사회의 화합을 도모하고, 종교와 사회를 융합시켜 종교의 중국화에 힘써야 한다”고 명시했다.
중국은 헌법에 불교·가톨릭·개신교·도교·이슬람교를 믿을 자유를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시진핑 총서기는 집권 이후 ‘종교의 중국화’ 정책을 내세우며 통제를 강화하고 종교 조직이 당과 정부의 요구에 따를 것을 주장하고 있다.
중국은 1949년 공산 정부 수립 이후 외국 종교단체와의 관계를 끊고 종교분야 자치 등을 강조하는 삼자애국운동을 벌여왔다.
아울러 자국 기독교인들에게 당에 협조하는 독립체로 활동하라며 등록을 강조해왔다.
중국의 삼자교회는 삼자애국운동교회(Three Self Patriotic Church)는 당국에 등록해 신앙생활을 하는 교회다.
사회주의 중국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존재하는 기구로, 모든 교회 활동은 당의 영향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구조다.
하지만, 당의 간섭을 거부하는 교인들은 미등록교회인 ‘가정교회’ 형태로 압박 속에서 예배를 이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중공은 2018년 2월부터 '종교사무조례'를 시행해 등록되지 않은 가정교회나 지하교회들은 물론 삼자교회도 교회 건물이 시진핑과 사회주의를 선전하는 센터로 사용되도록 압박과 통제를 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탈리아 기반의 중국 내 종교 자유와 인권에 관한 잡지 ‘비터윈터’의 마르코 레스핀티 편집국장은 “‘종교의 중국화'의 진정한 의미는 신성 모독을 강요하는 꼴이 되더라도 모두가 중공의 꼭두각시가 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