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21(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SOH 산책] 동서양의 역사를 바꾼 ‘참을 인(忍)’

편집부  |  2022-06-24
인쇄하기-새창

[SOH] 고대 그리스 신화의 프로메테우스(올림포스의 신들보다 한 세대 앞서는 티탄족에 속하는 신)는 인간이 고난을 겪는 것을 보고 태양신 아폴로의 불씨를 훔쳐 인류에게 전했다. 그래서 제우스는 프로메테우스를 캅카스산맥의 낭떠러지에 묶어 바람을 맞고 햇볕을 쬐며 독수리가 부리로 간을 쪼아 먹게 하고, 다음날 간이 다시 자라나면 또다시 쪼아 먹는 고통을 겪게 했다. 수천 년 후 헤라클레스는 독수리를 죽이고 프로메테우스를 구했다.

사마천은 “사람은 누구나 한 번 죽는데, 그 죽음에는 태산보다 무거운 것도 있고, 기러기 털보다 가벼운 것도 있다.”라고 말했다. 부친 생전에 다하지 못한 뜻을 이루기 위해 궁형을 받은 후에도 감옥에서 끝까지 ‘사기’를 완성하여 후세에 남겼다.

사실 ‘인(忍)’은 일종의 수양으로서 의미는 매우 광범하다. 일반 사람들은 ‘인’을 단지 참는 것으로만 여긴다. 이는 단지 한 방면으로서 ‘인’에는 인내, 고난, 손해, 인식, 받아들임, 견딤, 책임, 성취, 귀하되 교만하지 말아야 하고, 전공을 내세우지 않으며, 현명하면서 겸손하고, 강직하면서 인내할 줄 아는 뜻이 있으며, ‘인’ 중에 버림이 있고, 강함과 유함이 조화되고, 타인을 배려하는 등등 여러 가지 함의를 가지고 있다.

■ 칼날 아래 ‘마음 심’

세간에서 “‘인(忍)’자는 마음 심자 위에 칼날(刃)이 있다.”라는 말이 있는데 칼날 아래에 있는 마음처럼 모순을 없애고 즉 인내함으로 모순을 없애는 것이다.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 위험에 직면해도 두려워하지 않고 제때 즉시 결단하여 적의 사기가 날카로울 때는 피하고 지혜로 모순을 없애 정면충돌을 피하여 불필요한 소모와 손실을 줄여 타인을 위하고 선한 마음으로 모순을 해결하는 방법이다.

‘인’이란, 마음속에 담아두고 울화가 치미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울화가 가슴에 차면 기가 통하지 않고 우울함이 쌓여 하나로 엉켜 간과 신장이 상하고 간이 상하면 쉽게 분노하고 신장이 상하면 지력이 낮아진다. 지력이 낮아지면 실언하고 말이나 행동거지에 예의가 없다. 그리하여 ‘인’이란 마땅히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감당하고 풀어내는 것으로, 그래야만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과하지욕(胯下之辱)

북송의 소식(蘇軾)은 말했다. “필부가 치욕을 당하면 칼을 뽑아 들고 몸을 던져 싸운다. (匹夫見辱, 拔劍而起, 挺身而鬥)” 이는 진정한 용감함이 아니다. 진정으로 용감한 사람은 갑작스런 침해와 마주해서 상대방과 쟁투하지 않고 인내하며 양보하는 태도를 보여 모순을 풀어내어 상대방에게 내려올 계단을 마련해 준다. 이유 없는 모욕에도 담담하고 태연하게 대할 수 있다.

서한의 개국공신 한신(韓信)의 ‘대인지심(大忍之心)’은 매우 감탄할 만하다. 한신은 소년 시절 보검을 차고 다니는 것을 좋아했다.

어느 날, 한신이 장터를 걸어가는데 한 젊은이가 대중 앞에서 그를 모욕하며 말했다. “네 놈이 덩치는 큼직하게 생겨 밤낮 허리에 칼은 차고 다니지만 사실 네 놈은 겁쟁이일 뿐이야.” “네가 죽는 것이 두렵지 않다면 칼로 나를 한번 찔러 보아라. 그러나 죽기 두렵다면 내 가랑이 밑으로 기어가라.”

한신은 젊은 사람을 한참 빤히 쳐다본 후에 납작 엎드려 그의 다리 사이로 기어갔다. 모여 있던 구경꾼들은 모두 한신은 겁쟁이라고 비웃었다.

훗날 한신이 유방의 대장군이 되어 옛날 자신에게 모욕을 주었던 젊은이를 불러 군중에게 말했다. “이는 대단한 사람입니다. 그때 이 사람이 저에게 모욕을 주었을 때 저는 이 자를 죽일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자를 죽이는 것은 명목이 없었기에 참아내 오늘날의 대업을 성취할 수 있었습니다.”

젊은이가 용서를 비니 한신은 그의 죄를 사면하고 작은 벼슬까지 주었다.

인내하고 양보하는 것은 약해서 머리 숙이고 굴복하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번거로움을 피하고 화목을 위하는, 인내하는 자의 드넓은 흉금을 드러내는 것이다.

■ 와신상담(臥薪嘗膽)

와신상담이라는 사자성어는 모든 사람이 알고 있을 만큼 유명하다. 말 그대로, 땔나무 위에 누워 쓰디쓴 쓸개를 맛보았다는 것인데, 수십 년을 하루와 같이 이렇게 했다. 월(越)왕 구천(勾踐)이 패배한 후에 수십 년 동안 매일 식사 전에 쓸개를 맛보았다는 이야기다. 여기에서의 ‘인’은 하나의 견지와 하나의 책임감이다.

BC 498년, 오(吳)왕 합려(闔閭)는 파병하여 월(越)나라를 공격했다가 월나라에 패하였고 합려 또한 심각한 상처를 입었다. 2년 후 합려의 아들 부차(夫差)는 병력을 이끌고 월나라를 공격해 패배시키고 월왕 구천은 오나라로 압송되어 오왕의 노복이 되었다.

어느날, 오왕이 병이 들자 구천이 자발적으로 오왕의 똥을 맛보더니 만면에 회색이 감돌면서 오왕 부차를 축하하며 말했다. “똥의 색깔과 맛으로 판단할 때 전하의 몸은 큰 문제가 없으니 안심하고 치료하셔도 좋습니다.”

3년 후 오왕 부차는 월왕 구천을 월나라로 돌려보냈다. 월나라로 돌아온 후에 구천은 여전히 오나라에서처럼 생활하면서 더욱 근검하게 백성들을 사랑하고 관원들을 위안하며 병졸을 훈련했다.

구천은 자기 침소에 쓴 쓸개를 매달아 놓고 앉을 때나 누울 때나 자주 쓸개를 바라보았다. 식사하기 전에도 먼저 쓸개를 맛보았다.

월왕 구천이 22년 동안 계획한 후에 오나라를 평정한 후 패주(霸主)가 되었다. 구천은 또한 오나라가 점령한 땅을 초(楚)나라, 송(宋)나라, 노(魯)나라에 돌려주었다.

고금동서, 대업을 이룬 사람은 모두 일반 사람 같지 않은 의지력과 반석 같은 신념을 가지고 있다. / 週報明慧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709 [SOH 산책] 약(藥)보다 더 나은 악(樂)... 음악치료
하지성 기자
25-04-19
1708 [SOH 이슈] 중공의 기술 굴기 전략
디지털뉴스팀
25-03-22
1707 [SOH 이슈] 중국공산당의 급소가 된 전대미문의 인권탄....
디지털뉴스팀
25-03-17
1706 [SOH 이슈] 중국인 국가핵심시설 불법 촬영 또 적발... ....
한상진 기자
25-03-15
1705 [SOH 이슈] ‘편리함’과 ‘저가’로 유혹하는 딥시크... 당....
디지털뉴스팀
25-02-10
1704 [미스터리 TV] 사하라의 눈
미디어뉴스팀
25-02-06
1703 [TV 뉴스] 지자체 민생지원금, 최대 100만원?... 국민 ....
디지털뉴스팀
25-01-28
1702 [미스터리 TV] 중국에서 잦아지는 이상 천문현상... 어....
미디어뉴스팀
25-01-26
1701 [SOH 산책] 그저 우연(偶然)일까?
문화부
25-01-24
1700 [SOH 산책] 장수(長壽)의 비결
문화부
25-01-19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399,910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