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전 세계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중국 숏폼 비디오 플랫폼 틱톡. 사용자들은 끊임없이 이어지는 각종 영상 속에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지만 지나친 시청에 따른 ‘중독’으로 심신 및 생활적인 면에서 피해를 입을 수 있다.
틱톡 중독은 과도하고 강박적인 앱 사용을 동반한다. 앱을 스크롤하는 데 장시간을 소비하고, 알림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학교, 직장, 개인적인 관계와 같은 삶의 다른 중요한 측면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중독은 사용자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불안과 우울증 등 정신적 문제와 눈의 피로, 요통, 나쁜 자세 등 신체적인 문제 등이다.
또한 학업이나 기타 활동 등 사회적 책임에 소홀해져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데, 이런 것은 성장 과정 중에 있는 청소년 사용자들에게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틱톡의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관심사에 부합하는 동영상 스트림을 끊임없이 제공하며 사용자들의 참여를 계속 유도하도록 설계됐다. 이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해 콘텐츠를 홍보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알고리즘의 중독성은 사용자가 스크롤과 동영상 시청의 주기에 갇히게 하여 과도한 사용과 중독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틱톡 중독을 해결하는 것은 사용자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은 물론 그들의 사회적 관계와 책임을 바로잡는 데에도 매우 중요하다.
앱 사용을 줄임으로써, 사용자들은 그들의 삶에 대한 통제력을 되찾고 자기 관리, 개인적인 관계, 학업 및 직업 목표와 같은 중요한 측면을 우선순위로 재설정할 수 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