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최근 중국 정부의 공무원 아이폰 사용 제한 소식에 애플이 급격한 주가 폭락을 겪고 있다.
일본 '닛케이'는 8일 "중국 당국이 아이폰뿐 아니라 무선 이어폰인 에어팟과 애플워치 등을 지방정부와 국영기업에서 업무용으로 사용하거나 사무실 내 휴대를 금지했다"고 보도했다.
이 문제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닛케이에 “이 금지령은 지난 8월에 나왔으며, 이미 각 성·시급의 지방정부와 국영기업으로 확대됐다"고 밝혔다.
베이징의 한 국영기업 관계자는 당국의 애플 사용 금지령을 이달 초에 통지받았다고 했다.
그는 "(이번 금지령은) 10월 1일부터 무역기밀과 관련된 부서에 적용되고 내년 3월 1일부터는 모든 직원에게 확대 적용될 것"이라며 "3년 전부터 이 부서에서 규제 조치를 시행했지만 많은 직원들은 여전히 애플 제품을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IT 업계에 정통한 중국의 한 애널리스트는 ‘현재 많은 공무원이 애플과 국산 휴대폰을 각각 소유하는데 익숙해졌지만 금지 조치가 민간 기업과 일반에까지 확대되면 애플 판매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당국이 공무원에 아이폰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는 소식이 폭로되자 애플의 주가는 이츨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시가총액이 260조 가까이 증발했다.
게다가 애플은 지난 13일 아이폰15를 출시했지만 이번 금지 조치로 중국에서만 1000만 대 이상 판매가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중국에서 대규모 사업을 운영하는 미국기업 테슬라와 스타벅스, 나이키 등도 타격이 닥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 속에 이런 조치는 중국의 위험한 ‘자충수’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동안 국가안보를 우려한 미국의 각종 규제를 강하게 비난해온 중국 당국이 공무원 아이폰 사용 금지령을 내리면서 내세운 이유도 바로 ‘국가안보’였다.
아이폰의 ‘안보 위해 사실’을 입증할만한 구체적인 증거도 내놓지 못한 채 모든 공무원들에게 아이폰 사용 금지를 일방적으로 지시한 것은 결국 중국이 지속적으로 부당하다고 주장해온 ‘국가안보’를 내세운 서방 규제를 반박할 명분을 스스로 던져버리는 모양새다.
게다가 아이폰 부품 제조 및 조립 회사 등 외자기업이 고용하던 많은 인력의 실직과 이들 외자기업의 중국 탈출 흐름을 부추길 수 있어 중국 경제에 하방 압력을 더할 ‘악수(惡手)’라는 평가도 나온다.
미디어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