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14(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아하! 그렇구나] 컴퓨터 로컬 디스크는 왜 C부터 시작할까?

디지털뉴스팀  |  2023-10-27
인쇄하기-새창

우리가 사용하는 개인 컴퓨터에서 내 컴퓨터 혹은 '내 PC'에 들어가면 현재 컴퓨터의 용량이 얼마인지 각 드라이브에 쓰여 있다.

C 드라이브부터 시작해서 파티션을 나눴거나 추가 하드나 SSD(저장장치)가 있는 경우 D 드라이브, E 드라이브로 표시돼 있다.

여기에 USB나 외장하드를 연결할 경우 F 드라이브, G 드라이브처럼 알파벳 순서로 드라이브가 점점 늘어나게 된다.

이런 순서대로 라면 왜  A 드라이브부터 시작하지 않고 C 드라이부부터 시작하는 것일까?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것과 같은 형태를 가진 최초의 컴퓨터는 IBM에서 1981년에 만든 IBM PC 5150로 알려져 있다.

당시에는 SSD는 없었고 하드 디스크는 너무 비쌌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에는 저장 용량이 1NB 정도 밖에 안 되는 5.25인치나 3.5인치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했다.

IBM PC 5150에는 이런 플로피 디스크를 삽입할 수 있는 드라이브가 2개 있었다.

첫 번째 드라이브에는 컴퓨터를 정상적으로 부팅할 수 있는 운영체제가 담긴 플로피 디스크를 두 번째 드라이브에는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담긴 플로피 디스크를 각각 삽입했다.

이때 첫 번째 드라이브를 A 드라이브로, 두 번째 드라이브를 B 드라이브로 정했다.

이후 기술이 발전해 하드 디스크의 가격이 떨어지게 되었고, 1983년에 나온 5150의 다음 시리즈인 5160은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하나 없애고 무려 10MB의 용량을 가진 하드 디스크를 삽입할 수 있는 드라이브를 하나 만들어서 출시했다.

이때 컴퓨터의 드라이브는 두 개였지만 플로피 디스크가 A 드라이브, B드라이브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전 버전과 호환을 위해서 세 번째 드라이브라고 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C 드라이브로 정했다.

시간이 흘러 하드 디스크의 용량이 늘어나고 CD나 USB가 등장하면서 플로피 디스크를 쓸 일이 없어지자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없는 컴퓨터가 출시되기 시작했다.

그래서 A, B 드라이브 자리가 비게 되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첫 번째 드라이브가 되었지만 사람들은 하드 디스크가 C 드라이브인 것에 익숙했기 때문에 굳이 A 드라이브로 바꾸지 않고 C 드라이브인 채로 남아있게 됐다.

이것이 계속 유지되어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 역시 첫 번째 드라이브는 C 드라이브가 된 것이다.
즉 드라이브가 C부터 시작하는 것은 컴퓨터의 역사적 흔적이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538 [아하! 그렇구나] 컴퓨터 로컬 디스크는 왜 C부터 시작....
디지털뉴스팀
23-10-27
1537 [古中文化] 두 승려 이야기
문화부
23-10-24
1536 [SOH 산책] 부부(夫婦)
디지털뉴스팀
23-10-19
1535 [TV 뉴스] 그들이 ‘그레이트 리셋’을 추진하는 이유
디지털뉴스팀
23-10-15
1534 [SOH 산책] 마음을 진정하면 지혜가 생긴다
문화부
23-10-15
1533 [SOH 이슈] 차별금지법
디지털뉴스팀
23-10-14
1532 [SOH 산책] 혼인(婚姻)
디지털뉴스팀
23-10-12
1531 [SOH 이슈] 차이나 이머전시(China Emergency)
디지털뉴스팀
23-10-11
1530 [아하! 그렇구나] 생활 중 금기시된 행동들의 반전
디지털뉴스팀
23-10-10
1529 [SOH 산책]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디지털뉴스팀
23-10-10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073,219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