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13(일)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SOH 산책] 조상을 기리는 의례

문화부  |  2024-01-12
인쇄하기-새창
[SOH] ‘효자가 어버이를 섬김에 평소 거처할 때에는 그 공경을 극진히 하고, 봉양할 때에는 그 즐거움을 극진히 하고, 병환에는 그 근심을 극진히 하고, 초상에는 그 슬픔을 극진히 하고, 제사에는 그 엄숙함을 극진히 한다. 《소학(小學)》 「내편(內篇)」

조상제사는 세상을 떠난 부모를 비롯한 선조를 기리는 의례다. 유교의 이념을 국시로 삼았던 조선의 제사는 효심을 지속하는 데 그 뜻이 있었다. 즉 자신이 태어난 근본을 잊지 않고 은혜를 갚고자 하는 추원보본(追遠報本)의 행위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제사는 자손이 선조를 살아있을 때처럼 모신다는 뜻으로 ‘사여생(事如生)’이라 칭해졌다. 제사상에 조상이 생전에 즐기던 음식을 올리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생선의 경우 서해안에서는 조기나 홍어를, 남해안에서는 고래나 상어를, 동해안에서는 문어를 올리는 것이 그 단적인 예다.

제사는 향을 피워 혼(魂)을 부르고 술을 부어 백(魄)을 부르는 강신(降神)의식으로 시작한다. 이어 술을 올리는 초헌(初獻)·아헌(亞獻)·종헌(終獻), 제물을 권하는 축(祝), 제물을 들도록 잠시 문을 닫는 합문(闔門)과 유식(侑食), 차나 숭늉을 올리는 헌다(獻茶), 작별인사를 하는 헌신(獻神), 제사에 참석한 이들이 음식을 나누는 음복(飮福)의 순으로 진행된다. 

제사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조상의 은혜에 대한 감사와 그들을 기리고자 하는 정성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사는 세상을 떠난 조상과 살아있는 자손이 소통하는 의례다. 

죽은 이에 대한 이러한 공경은 비단 자신의 조상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예전에는 음력 9월 9일 중구절에 가족이 함께 산에 가서 즐기다 오는 풍습이 있었다. 그들은 우선 국화주에 국화전을 차려놓고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다. ‘떡 본 김에 제사 드린다’는 말이 딱 들어맞았다. 

놀라운 것은 그때 누군지 모르는 객사한 원혼들도 함께 흠향하도록 했다는 점이다. 귀하게 마련한 음식을 자신의 조상뿐만 아니라 불쌍하게 죽어 제사상조차 받을 수 없는 망자들을 위해 내놓았던 것이다. 그런 마음을 지녔던 이들이 이웃을 어떻게 대하였을까는 가히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오늘날 부모와 조부모의 기일에 제사를 지내는 집안이 얼마나 될까. 명절날 아침에 새 옷으로 갈아입고 차례를 지내는 이들이 얼마나 될까. 선조를 기리는 의례가 잊혀감에 따라 생명을 전해주고 양육해준 이들에게 감사하며 그들을 기리고자 하는 마음도 점차 사라지는 것은 아닌지 되새기게 된다. 

또한, 그에 앞서 지금 살아있는 부모와 조부모에게 감사하며 그들과 소통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되돌아보게 된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관련기사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578 [아하! 그렇구나] 차이나타운(상)
디지털뉴스팀
24-01-24
1577 [미스터리 TV] 전세계 지도에서 급하게 삭제된 ‘섬’
미디어뉴스팀
24-01-21
1576 [SOH 산책] '나(我)'라는 인식에 대하여
문화부
24-01-19
1575 [미스터리 TV] "온 우주는 신과 자연의 정령들로 가득"
미디어뉴스팀
24-01-16
1574 [SOH 산책] 고소하고 달콤한 호떡의 기원
디지털뉴스팀
24-01-14
1573 [SOH 산책] 조상을 기리는 의례
문화부
24-01-12
1572 [SOH 이슈] 미국을 무너뜨리는 펜타닐
디지털뉴스팀
24-01-11
1571 [SOH Info] 허구로 확인된 진화론... 인류의 역사는 수....
문화부
24-01-10
1570 [SOH 산책]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
디지털뉴스팀
24-01-06
1569 [SOH 산책] 육도윤회(六道輪回)
디지털뉴스팀
24-01-05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073,219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