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22(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SOH 산책] 명(明)의 힘

디지털뉴스팀  |  2024-07-08
인쇄하기-새창
명(明)은 ‘밝음’을 뜻한다.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는 명(明)을 ‘빛이 난다’는 의미의 경(囧)과 ‘달’을 뜻하는 월(月)이 합쳐진 글자로 봤다. 

경(囧)이 무엇을 본뜬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허신은 경(囧)을 ‘창문이 밝게 비치는 것(窻牖麗廔闓明)’이라고 했다. 그래서 명(明)을 ‘창문에 비친 달의 밝음’으로 보는 해석도 있다.

중국의 가장 오래된 한자 자형인 갑골문(甲骨文)에서는 경(囧)과 월(月)이 합쳐진 ‘朙’도 많이 보이지만, 지금처럼 해(日)와 달(月)이 합쳐진 ‘明’도 자주 나타난다. 

이 두 글자는 모두 ‘빛의 밝음’을 나타내지만, 하나는 빛이 비쳐 밝은 것을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그 자체가 빛을 밝히는 것을 나타내는 차이점이 있다.

명(明)이 들어간 한자어들을 살펴보면, 명(明)은 빛을 받는 것보다는 밝히는 의미인 것 같다. ‘조명(照明)’이나 ‘광명(光明)’, 금성을 뜻하는 ‘명성(明星)’, ‘명월(明月)’ 등의 단어들은 그 자체가 밝게 빛나는 의미를 가진다. 

물론 금성이나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진 못하지만 여기에서 명(明)은 ‘밝게 빛난다’는 의미로 사용됐다. 

명(明)은 시각적인 ‘밝음’을 뜻하는 글자이지만, ‘드러내다’ ‘훤하다’ 등의 추상적인 의미로도 사용된다. 

내용이나 사실을 밝히는 ‘설명(說明)’ ‘규명(糾明)’ ‘사리에 밝다’는 뜻인 ‘현명(賢明)’ 등이 있고, 밝은 빛 아래에서 보이듯, ‘뚜렷함’을 나타내는 ‘명료(明瞭)’ ‘선명(鮮明)’ ‘분명(分明)’ ‘명확(明確)’ 등이 그것이다.

장자(莊子)는 ‘막약이명(莫若以明)’이라는 말을 통해 그저 빛을 밝게 비추는 것 자체가 실상을 드러내는 데 가장 좋은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한자의 영향을 받는 동아시아에서 명(明)은 바름과 진실, 그리고 진리를 대표하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The JoongAng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659 [SOH 산책] 언어의 에너지
디지털뉴스팀
24-09-06
1658 [SOH 산책] 어느 중국인 과학자의 고백
문화부
24-08-28
1657 [미스터리 TV] 밀밭에 나타난 괴비행체... 5초 만에 '미....
미디어뉴스팀
24-08-22
1656 [SOH 산책] ‘분노’로 물든 세상에 필요한 ‘忍’(하)
디지털뉴스팀
24-08-21
1655 [SOH 산책] ‘분노’로 물든 세상에 필요한 ‘忍’(상)
디지털뉴스팀
24-08-16
1654 [문화] 늦더위 남았지만 어느덧 입추(立秋)
한지연 기자
24-08-07
1653 [SOH 산책] 밥 먹기(吃飯)
문화부
24-07-23
1652 [미스터리 TV] 우주가 어떤 생명체의 세포라는 증거
미디어뉴스팀
24-07-14
1651 [SOH Info] 무신론
편집부
24-07-14
1650 [SOH 산책] 명(明)의 힘
디지털뉴스팀
24-07-08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399,910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