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김예영(원명학당 원장)
[SOH] 빈자일등(貧者一燈)은 가난한 사람의 정성스러운 등불 하나란 뜻으로 이는 곧 가난하지만 성심껏 보시하는 자세를 비유하는 말입니다.
불교의 경전 중 하나인 현우경(賢愚經)의 빈녀난타품(貧女難陀品)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석가모니가 사위국(舍衛國)의 한 정사(精舍)에 머무르고 있을 때의 일입니다.
그 나라에는 난타(難陀)라는 한 가난한 여인이 있었습니다. 그녀 역시 다른 사람들처럼 부처에게 공양을 바치고 싶었으나 남에게 구걸을 하며 살고 있는 자신의 처지로서는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그녀는 하루종일 돌며 구걸을 한 끝에 간신히 1전을 얻게 되었습니다.
그 돈으로 기름을 사서 부처에게 등불을 바치려고 했으나 기름장수는 그렇게 적은 양은 팔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난타는 자신의 간절한 심정을 주인에게 털어놓으며 사정을 했습니다. 난타의 정성에 감동한 주인은 훨씬 많은 기름을 주었습니다.
난타는 기쁜 마음으로 등을 만들어 부처에게 공양했습니다. 그로써 난타의 등불은 다른 많은 등 사이에서 밝게 빛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얼마 후 이상한 일이 생겼습니다.
밤이 지나면서 다른 모든 등불이 꺼져갔는데, 난타의 등만은 세찬 바람 속에서도 꺼지지 않은 채 계속 밝게 타는 것이었습니다.
석가모니는 난타의 정성된 마음을 알고 그 후 그녀를 비구니로 받아들였다고 합니다. 이로부터 빈자일등이라고 하면 가난하지만 정성을 다한 보시를 뜻하게 되었습니다.
남에게 정성을 바치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지요. 다만 자기 분수에 맞고 정성이 한껏 들어가 있을 때 그 아름다움은 더 빛날 것입니다.
또한 그런 정성을 제대로 받아들일 줄 아는 마음이 있는 사람에게만이 그 선물은 제 빛을 발할 것입니다. 주는 이나 받는 이나 물건 자체에 정신이 팔려버린다면 그것은 거래가 되어 버리겠지요.
사월 초파일은 부처님 오신 날입니다.
이 무렵 각지의 절집에는 소담스런 연등들이 가득 걸릴 텐데요, 각자의 소망을 담은 등불이겠지요. 가난한 여인, 난타의 등불처럼 꺼지지 않고 빛나는 등불은 바로 정성이란 이름의 등불이겠지요.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