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사기’에는 편작이 장상군(長桑君)을 스승으로 모신 일화가 나오는데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줍니다.
편작은 본래 발해군(渤海郡) 출신으로 정(鄭)나라 사람입니다. 성은 진(秦)이고 이름은 월인(越仁)이었습니다. 젊을 때 그는 여관에서 관리인으로 일했는데, 당시 여관에 투숙한 손님 중에 나이가 아주 많이 들어 보이는 사람이 있었는데 기상이 평범하지 않았습니다. 편작은 그를 매우 특별히 대했으며 아주 공경하게 대했습니다. 편작은 진실하고 정성스럽게 그의 모든 일을 솔선해서 도왔습니다.
노인은 편작을 십여 년간 관찰한 후에야 그의 본성이 순진(純眞)하고 자비하며 선량해 결코 일반사람이 아님을 확신했습니다. 또한 그가 일반인은 겪어내지 못할 고생을 겪어낼 수 있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진월인에게 자신의 의술을 전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어느 날 노인은 편작을 불렀습니다.
“내게 한 가지 비방(秘方)이 있는데 나는 이제 나이가 너무 많아 쓸모가 없구나. 이런 것들을 모두 네게 전해줄 터이니 부디 사양하지 말거라.”
편작은 공손하게 그의 말을 따랐습니다. 그러자 노인은 품에서 한 권의 책을 꺼내어 약과 함께 편작에게 건네주었습니다. 노인은 “너는 이 약을 ‘상지수(上池水)’와 함께 마시거라”하고 지시했습니다. 여기서 상지수란 하늘에서 내려왔으나 아직 땅에 떨어지지 않은 빗물이나 이슬 등을 말합니다. 노인은 상지수에 자신이 준 약을 섞어 30일간 마시면 많은 것을 알게 될 거라고 말했습니다.
편작은 노인이 지시한 대로 30일간 상지수에 약을 섞어 마셨습니다. 그러자 30일 후 갑자기 벽 뒤쪽에 있는 사람을 볼 수 있었습니다. 수련계(修煉界)에서 말하는 ‘투시(透視)능력’이 생겨 벽 뒤편에 있는 사물을 볼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그때부터 그는 사람 신체 속의 오장육부를 직접 볼 수 있었으며 오장육부 어디에 덩어리가 맺혔는지 볼 수 있었습니다. 환자를 만나면 어떤 의사보다 병의 원인을 명확히 알고 치료하니 사람들의 경외심 또한 커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편작이 노인을 극진히 돌본 우연한 행동이 위대한 의사를 탄생시킨 것입니다.
편작은 또 맥(脈)을 이용해 환자의 병을 진단하는 방법을 개발했으며, 맥을 보는 방법과 이론을 정리해 ‘난경(難經)’이란 책을 저술했습니다.
난경에는 기색(氣色)을 관찰하는 방법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장부의 상태나 병세(病勢)가 얼굴에 드러나는 기색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사실 얼굴, 손, 머리카락이 자라는 방식, 피부 상태, 혈관이 피부에서 드러나는 현상은 모두 내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때문에 이런 것은 병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난경은 제1난부터 61난까지 모두 어떻게 진맥을 할 것인가 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또 오장육부와 경락의 상호관계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사실 편작은 투시능력을 지니고 있어 오장육부의 각종 상황을 눈으로 볼 수 있었고, 맥을 짚을 때는 맥의 상태와 장부의 관계가 하나로 연결된 것을 알았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고스란히 담은 난경은 실용성이 매우 높습니다. 지금도 많은 중의사들이 난경에 기재된 방법에 근거해 진맥(診脈)하고 치료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