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14(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한약의 포제(炮製)와 제제(製劑)

편집부  |  2011-11-04
인쇄하기-새창

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한약을 포제(炮製 한약재를 약용으로 사용하기 적당하게 조제하는 것)하고 약을 만드는 제형(劑型 한약을 복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것)은 한의학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약물(藥物)의 특수한 효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약물을 포제했습니다.

 

고(膏), 환(丸), 단(丹), 산(散), 탕(湯), 액(液), 요(醪), 예(醴) 등은 각기 다른 작용이 있죠. 예를 들어 환제를 만들 때도 꿀이나 쌀, 밀가루, 물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했습니다. 또 탕제는 깨끗이 쓸어내는 탕척(蕩滌 깨끗이 씻는 것)작용이 있고 환제는 완만하고 부드러운 작용이 있습니다.
 

한약의 포제는 치료효과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약의 포제방법 중에 불로 가공하는 방법은 4가지가 있습니다. 전문용어로 ‘화제유사(火製有四)’라 하는데, 구체적으로 말하면 하(煆), 외(煨), 구(炙), 초(炒)가 그것입니다. 여기서 하(煆)란 직접 불에 사르는 것을 말하며, 외(煨)란 약을 불 위에 놓고 굽는 것이고, 구(炙)란 꿀을 섞어 볶거나 액체 보조재를 넣고 약재를 볶는 것이며 초(炒)란 액체 보조재 없이 그냥 약재만 볶는 것을 말합니다.


또 물로 가공하는 방법이 3가지가 있는데 이를 ‘수제유삼(水劑有三)’이라 합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지(漬), 포(泡), 세(洗)가 그것입니다. 이는 약재를 물속에 넣고 찌꺼기를 제거하거나 거품을 제거 혹은 이물질을 씻어버리는 가공법을 말합니다. 물론 물이 아닌 술과 같은 액체 보조재를 이용해 가공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술로 씻는 포제법을 주세(酒洗)라 합니다.


또 물과 불을 동시에 사용해 가공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수화공제(水火共製)’라고 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약재를 증기로 찌는 증(蒸)과 삶는 자(煮)가 있죠. 이 두 가지의 차이점이라면 물이 직접 닿지 않고 수증기로 찌는 것과 물속에 넣고 가공하는 차이 입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6 제제(製劑)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효과
편집부
11-11-18
25 다양한 포제법의 효과
편집부
11-11-11
24 한약의 포제(炮製)와 제제(製劑)
편집부
11-11-04
23 투시력을 지닌 편작 (下) [1]
편집부
11-10-28
22 투시력을 지닌 편작 (上)
편집부
11-10-21
21 삼국지의 신의(神醫) 화타(華佗) (下)
편집부
11-10-14
20 명의(名醫) 전기 - 화타(華佗) (上)
편집부
11-10-07
19 특별한 능력을 지녔던 고대 명의(2)
편집부
11-09-30
18 특별한 능력을 지녔던 고대 명의(1) [1]
편집부
11-09-23
17 수도인과 중의사
편집부
11-09-16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073,219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