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13(일)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침과 뜸: 뜸을 뜰 수 없는 혈

편집부  |  2012-03-09
인쇄하기-새창

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뜸(灸)’은 쑥을 뭉쳐 혈자리에 온열(溫熱)자극을 주는 치료법입니다. 뜸쑥을 흔히 애융(艾絨)이라고 하는데 솜처럼 고운 쑥을 손으로 잘 말아 쌀알크기 정도로 비벼 뜸봉을 만든 후 혈자리 위에 놓고 불을 붙입니다.


‘침구대성’에서는 ‘금구혈가(禁灸穴歌)’라 하여 뜸을 뜰 수 없는 자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들 혈자리로는 우선 얼굴이나 머리에 위치한 혈자리 인데, 얼굴에 함부로 뜸을 뜨면, 보기 흉한 흉터가 남기 때문입니다. 머리에도 뜸을 뜰 수 없는 몇 개의 혈 자리가 있는데요, 보통 그 아래에 혈관이 지나는 곳입니다. 이곳에 뜸을 뜨면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요. 예를 들어 ‘아문(啞門), 풍부(風府), 천주(天柱), 승광(承光), 임읍(臨泣), 두유(頭維)’ 등의 혈은 모두 머리에 있으며 이런 곳에 뜸을 뜨면 갑자기 혈압이 올라가거나 동맥혈관이 팽창해 견디기 힘들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사죽공(絲竹空), 찬죽(攢竹), 정명(睛明), 화료(禾髎), 영향(迎香)’ 등의 혈은 모두 얼굴 특히 눈 근처에 있어 뜸을 잘못 뜨면 눈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금구혈가’에는 ‘침과 뜸은 함께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구절이 나옵니다. 침을 놓고 그 자리에 뜸을 뜨거나 혹은 뜸을 뜬 후 또 침을 놓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는 말입니다. 즉, ‘뜸을 떴으면 침을 놓지 말고 침을 놓았으면 뜸을 뜨지 말라(灸而勿針, 針勿灸)’는 말이죠.  ‘침구대성’에서는 ‘침경(針經)에서도 이를 신신당부하고 있지만, 지금의 용렬한 의사들은 침과 뜸을 함께 사용해 환자에게 포락(炮烙)형을 가한다’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포락형이란 상(商)나라 말기 폭군 주왕(紂王)이 달기의 청에 따라 시행한 잔인한 불고문을 말하는데 침과 뜸을 같이 하면 환자가 포락형을 받는 것처럼 괴롭다는 의미입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46 침과 뜸: 임상에 효과적인 혈자리와 취혈법(4)
편집부
12-04-13
45 침과 뜸: 임상에 효과적인 혈자리와 취혈법(3)
편집부
12-04-06
44 침과 뜸: 임상에 효과적인 혈자리와 취혈법(2)
편집부
12-03-30
43 침과 뜸: 임상에 효과적인 혈 자리와 취혈법
편집부
12-03-23
42 침과 뜸: 침과 뜸의 다른 금기(禁忌)
편집부
12-03-16
41 침과 뜸: 뜸을 뜰 수 없는 혈
편집부
12-03-09
40 침과 뜸: 의서에 나오는 금기혈
편집부
12-03-02
39 침과 뜸: 12혈(4)
편집부
12-02-23
38 침과 뜸: 12혈 (3)
편집부
12-02-17
37 침과 뜸: 12혈 (2)
편집부
12-02-10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040,15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