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셀러리죽(芹菜粥)
현대의학에서 셀러리는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고 하지요. 중국 고대의 의원들도 셀러리가 복열(伏熱)을 내리고 대장과 소장기능을 조절한다고 했습니다. 실제로 셀러리는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에 좋고 혈압을 내리는 효과도 있습니다. 변비가 있는 사람은 셀러리죽을 자주 먹으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총시죽(蔥豉粥)
또 ‘총시죽’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총시탕(蔥豉湯)’이라는 처방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총시탕은 배고픔을 없애주고 땀을 내는 처방인데요. 감기에 걸려 열이 나면 땀을 내어 열을 내릴 수 있습니다. 가령 파와 청국장에 쌀을 함께 넣어 죽을 쑤면 발한(發汗) 효과가 더욱 좋습니다.
강두죽(豇豆粥 동부죽)
‘본초종신(本草從新)’에는 아주 특별한 죽이 나옵니다. 바로 ‘강두(豇豆)’라는 콩으로 쑨 죽인데, 강두는 흔히 동부라고도 합니다. 그럼 강두는 어떤 작용을 할까요? 강두는 쌀과 같은 종류의 곡식이 쉽게 퍼지도록 해 소화를 돕고 배가 잘 꺼지게 합니다. 강두 껍질을 한약재로 활용하면 배가 부풀고 가스가 차는 창기(脹氣)를 다스릴 수 있지요. 즉, 강두죽은 위와 장의 기를 다스리고 오곡류의 음식물을 소화시킵니다.
부추죽(韭菜粥)
부추를 죽에 넣으면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고 하초(下焦)를 덥힐 수 있어 보신(補腎)작용이 강합니다. 중의학에서는 신장(腎臟)을 둘로 나눠 좌측 신장은 수(水)에 속하고 우측 신장은 화(火)에 속한다고 보는데요. 화(火)는 토(土)를 생(生)하므로 신(腎)의 화(火)를 보하면 비위의 토를 도울 수 있지요. 이것이 바로 중초를 따뜻하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부추는 또 하초를 따뜻하게 덥힐 수 있는데 하초란 신(腎), 명문(命門), 방광(膀胱), 자궁 및 소장 등 신경(腎經)이 지나는 부위입니다. 명나라의 저명한 의학자 손일규(孫一圭)는 부추의 이런 특성을 이용해 부인의 자궁하수(子宮下垂)를 고쳤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하지(下肢) 질환에도 좋은데요. 왜냐하면, 부추는 신수(腎水)와 신화(腎火)를 보(補)하는 작용을 하는데 특히 신화(腎火)를 보하는 작용이 강해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하초를 덥힐 수 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