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선용(善熔)
[SOH] 이 이야기는 민간 일화로서 북송(北宋) 시기 청백하고 공정한 명판관 포청천이 재상으로 있을 때 일입니다.
한 마을에 구걸해서 먹고 사는 다리가 불구인 10여세의 고아가 있었습니다.
이 마을 앞에는 강이 흐르고 있었는데 다리가 없어 사람들은 물속으로 강을 건너야 했으며 노인과 아이는 혼자서는 강을 건널 수 없었습니다. 더구나 큰 비라도 내려 강물이 불어나면 마을은 고립되어 생활하기에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가난한 마을 사람들은 다리를 놓을 엄두를 내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인가 고아인 소년이 다리를 질질 끌어가며 강가에 돌을 쌓고 있었습니다. 그것을 보고 있던 동네 어른이 의아해 아이에게 물었습니다.
“넌 뭐 때문에 힘들게 거기다 돌을 쌓고 있는 거냐?”
“저는 여기다 다리를 놓아 할아버지나 아이들도 마음 놓고 강을 건널 수 있게 할 거예요.”
“네 마음은 기특하다만, 내 보기엔 사서 고생하는 것 같으니 그만두거라. 먹는 것도 시원찮을 텐데 공연히 힘 빼지 말고...”
어른이 혀를 차며 돌아간 후에도 아이는 마음을 접지 않고 꾸준히 돌을 쌓았습니다. 그렇게 몇 달의 시간이 흐르자 돌무더기는 작은 산만큼 쌓였습니다. 그제 서야 그것을 지켜보던 어른들은 아이의 정성에 감동해 모두 협력해 그 돌로 다리를 놓기 시작했습니다. 다리가 거의 완성되어갈 무렵 돌을 다듬던 아이는 그만 사고로 두 눈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아이는 이에 굴하지 않고 손으로 돌을 더듬어 큰 돌과 작은 돌을 따로따로 분리하여 가져다 쓰기 좋게 배열해 놓았습니다.
드디어 다리가 완공되던 날 기뻐하는 동네 사람들 속에서 눈을 잃은 소년은 일생 중 가장 기쁜 표정을 지었습니다. 사람들은 아이의 그 순정한 표정에 감동해 눈물을 흘렸습니다. 다리가 완공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동네에 큰 비가 내렸습니다. 그것은 마치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장대비에도 끄떡없는 돌다리의 위엄을 보여주려는 듯했습니다.
이튼날 새벽. 비 갠 하늘은 유리처럼 맑고 푸르렀으며 흙먼지가 깨끗이 씻긴 돌다리는 찬란한 햇빛 아래 아름답게 빛났습니다. 그러나 그 다리를 건너던 첫 행인은 시력을 잃은 소년이 밤사이 벼락을 맞고 다리 위에 숨져 있는 것을 보아야 했습니다. 사람들은 아이의 팔자가 사납다고 탄식하며, 무정한 하늘을 원망했습니다.
그날 마침 포청천이 공무처리를 위해 이 지역을 지나가게 되었습니다. 이에 동네사람은 포청천이 탄 가마를 막아서서 소년에 대한 내력을 이야기 하며 “정성이 지극하면 하늘도 감동한다”는데 그 하늘의 도리는 어디에 있는 거냐며 따졌습니다.
포청천도 속세의 화식을 먹는지라 사람들의 정서에 이끌려 분노하며 붓을 휘둘러 '녕행악물행선 (寧行惡勿行善)', 즉, ‘악을 행할지언정 선행하지 말라’는 여섯 글자를 써놓고는 떠났습니다.
유수와 같은 세월이 포청천으로 하여금 눈 먼 소년의 일을 까마득히 잊게 할 무렵의 어느 날 황제는 황실로 포청천을 불러들여 말했습니다.
“며칠 전 태어 난 내 아들이 태어나면서 지금껏 울음을 그치지 않네. 별의 별 수단을 다 써 봤지만, 약이 없으니, 자네가 한 번 봐 주게나.”
포청천이 태자에게 가 보니 피부가 눈처럼 흰 아기가 오른 손 주먹을 꼭 쥐고는 악을 써대며 울고 있었습니다. 포청천이 아이의 손을 조심스럽게 펴 보니 거기엔 ‘녕행악물행선’이라는 여섯 글자가 적혀있었습니다. 포청천은 얼굴이 화끈거려 그 글자를 얼른 지웠습니다. 그러자 그 글자가 지워지면서 아이의 울음도 그쳤습니다.
그것을 보고 있던 황제는 “아이가 울음을 그친 것은 다행이나 복점일지도 모르는 붉은 점을 그렇게 함부로 없애버려도 되겠는가?”라고 말했습니다. 황제에게는 그 여섯 글자가 붉은 점으로 보였던 것입니다. 하는 수 없이 포청천은 그 여섯 글자에 얽힌 이야기를 황제에게 들려주었습니다.
“그 말을 들으니, 내 태자의 앞날이 걱정스러우니, 대인께서 음양침(陰陽枕)을 이용해 저승에 가서 그 내막을 알아 옴이 어떡하겠소?”
황제의 부탁에 포청천은 음양침을 베고 저승으로 갔습니다.
염라대왕은 포청천을 맞아 눈 먼 소년에 대한 전생을 보여주었습니다.
소년은 원래 전생에 죄업이 너무 커서 그 죄업을 갚으려면 삼세(三世)동안 응보를 받아야 했습니다. 그래서 신의 배치는 1세에는 불구의 몸으로 외롭고 힘들게 살게 하고 2세에는 두 눈이 멀어 역시 고생스럽게 생을 마치게 하며 3세는 벼락을 맞고 죽어 시체가 황량한 벌판에 버려지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소년은 제 1세에 불구의 몸으로 구걸을 하며 살면서도 자신보다도 남을 위하는 마음으로 돌다리를 만드는 것을 보며 신은 한 세에 두 세의 업을 갚도록 하기 위해 소년의 두 눈을 잃게 했습니다. 그래도 소년은 남을 원망하거나 하늘을 탓하지 않고 묵묵히 다리 만드는 일을 지속했습니다.
신은 소년의 행동에 감동하여 삼세에 갚아야 할 악업을 한 세에 다 갚도록 벼락을 맞아 죽게 한 것입니다. 그리고 그 선행의 덕으로 천자의 복을 누리도록 태자로 환생시킨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흔히 현재에 일어나는 일만으로 그 잘잘못을 따지는 우를 범합니다. 그러나 ‘자신이 저지른 죄는 자신이 갚아야 한다’라는 하늘의 이치는 한 치의 오차도 없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자신보다는 남을 위하는 끝없는 정성은 하늘도 감동시켜 신의 자비를 베풀어 준 것입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