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장 성왕이 내려와 요의 하늘을 열다
1. 성왕이 세상에 내려오다
《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요임금의 부친은 제곡(帝嚳)이다. 제곡에게는 강원(姜嫄), 간적(簡狄), 경도(慶都)와 상의(常儀)라는 4명의 왕비가 있었다.
이들 중 제곡의 정비는 강원이었는데, 거인의 발자취를 밟아 임신이 되어 기(棄 후직)를 낳았다. 기는 훗날 주나라의 시조가 된다. 간적은 제비알을 삼켜서 임신이 되어 설(契)을 낳았는데, 설은 상나라의 시조가 된다.
경도는 진봉씨(陳鋒氏)로 이기산(伊祁山)아래에서 태어났다. 전설에 따르면 경도는 어느 신인의 딸이라고 한다. 어느 날 하늘에서 큰 번개가 내리쳐 신인의 몸에서 피가 나게 했다. 신인의 피가 흘러 큰 바위에 이르자 나중에 이곳에서 영아를 만들었으니 그가 바로 경도였다. 성장한 후 제곡에게 시집가 비가 되었다. 그녀가 바로 요임금의 모친이다.
네 번째 부인인 상의는 지(摯)를 낳았는데 지가 제곡의 장자였다. 상의는 또 딸도 한 명 있었다.
《죽서기년(竹書紀年)》에 따르면 “(요)의 어머니는 경도라 하는데 투유(鬥維) 들판에서 태어났고 노란 구름이 항상 그 위를 덮고 있었다. 성장해서 삼하(三河)를 바라보면 늘 용이 따랐다.
어느 날 아침 용이 그림을 지고 나타났는데, 그 그림에는 ‘역수천우(亦受天祐 역시 하늘의 도움을 받는다)’, ‘적제기성천하보(赤帝起成天下寶 적제가 일어나니 천하의 보배가 된다)’는 내용의 글귀가 적혀 있었다.
그림에는 또 눈썹이 8가지 색이고 머리카락이 7척 2촌에 달하는 인물이 그려져 있었다. 그 인물의 얼굴은 위는 가늘고 아래가 두터웠으며 발은 익수(翼宿)를 밟았다. 잠시 후 음산한 바람이 사방에서 모이더니 적룡이 감응했다.
경도는 임신 14개월만에 단릉(丹陵)에서 요를 낳았는데 그 모습이 그림과 같았다. 두 발바닥 중앙에 각기 22개의 주황색 사마귀가 있어서 마치 천상의 익성과 모습이 흡사했다. 때문에 적제(赤帝)의 정이 익수에서 생겼다고 한다. 이름을 방훈(放勳)이라 했다. 《시법(諡法)》에 따르면 선을 이루고 성을 전한 것을 요라 하고 선행과 덕의를 요라 한다.
요는 출생 후 모친과 종종 외조부 이기후(伊祁侯)의 집을 방문했기 때문에 성을 이기(伊祁) 또는 이(伊)라 했다.
요임금은 키가 10척 장신이었다. 《춘추원명포春秋元命苞》에 따르면 요임금은 눈썹이 8가지 색으로 빛나 천상과 역수에 밝았고 일월성신의 운행을 잘 알았다. 《춘추위春秋緯‧합성도合誠圖》에는 그의 이마가 태양 모양이었다고 기록됐다.
2. 제지를 잇다
제곡은 만년에 도를 찾고 수도하는데 전념하면서 네 아들 중 누구에게 제위를 물려줄 것인지 생각해보았다. 그는 4명의 아들을 비교해보았다. 재주와 덕을 따지자면 요와 설이요, 그 모친의 자격을 따지자면 기가 낫고, 나이를 고려하면 지가 나았다. 하지만 그는 재주와 덕이 다른 형제들에게 미치지 못했다. 제곡은 점을 쳐서 결정하기로 했는데 그 결과 네 아들이 모두 천하를 갖는다는 점괘가 나왔다. 제곡은 결국 나이 순서에 따라 먼저 지를 후계자로 삼았다. 제곡이 사망한 후 지가 제위를 이으니 그가 바로 제지(帝摯)다.
요는 13세 때 도(陶 지명)에 봉해졌다. 그는 배우길 좋아하고 능력이 뛰어났는데 도기를 제작하는 솜씨가 뛰어나 인근에 소문이 자자했다. 요는 어진 덕과 재능이 있어 도읍을 아주 잘 다스렸다.
15세가 되자 요는 또 당(唐)지역의 제후로 봉해져 조정에 협조하라는 명을 받았다. 요와 그의 씨족은 또 ‘도당씨(陶唐氏)’로 불리게 된다.
한편 제지는 재주와 덕이 부족해 일부 불량한 사람들 특히 ‘삼흉(三凶)’과 어울렸다. 삼흉이란 당시 3명의 악인으로 하나는 공공공임(共工孔壬), 하나는 환두(驩兜) 마지막은 곤(鯀)이었다.
이중 공공공임은 말재주가 뛰어났고 겉으로는 공순하고 선량해 보였지만 마음이 악독했고 환두는 원래 성격이 흉악하고 잔인하고 폭력적이라 풍속을 해치거나 많은 이들을 미혹시켜 나라를 어지럽혔다. 곤은 박학하고 재주가 많았는데 건축에 뛰어났다. 하지만 자신만 옳다고 여겨 고집이 세고 멋대로 하는 경향이 있었다.
제지는 환두를 사도(司徒)에 임명해 정치를 총괄하게 했고 공임(孔壬)을 공공(共工)에 임명해 온갖 공사를 주관하게 했다. 또 곤을 수로와 도로건설을 책임진 사공(司空)에 임명했다. 그러나 환두와 공임은 제지를 유혹해 주색에 빠져 정치에 집중하지 못하게 했다. 이는 백관들과 관계가 소원해지고 백성들을 돌보지 않게 해 민원이 자주 발생하고 천재가 끊이지 않았다. 사람들은 이에 대해 천자가 무도한 탓이라고 원망했다.
3. 난을 평정하다
제지가 덕을 잃자 동이의 일부 부락이 잇달아 난을 일으켜 사회를 해쳤다. 《회남자(淮南子)‧본경훈(本經訓)》에는 “요임금 때 알유(猰貐), 착치(鑿齒), 구영(九嬰), 대풍(大風), 봉희(封豨), 수사(修蛇)가 모두 백성들에게 해를 끼쳤다.”라는 기록이 있다.
“제준은 예(羿)에게 붉은 활과 흰 화살을 주어 아래로 내려가 돕게 했다.”(《산해경‧해내(海內)》) 즉 당시 천제였던 제준이 장차 인간 세상에 대재앙이 발생할 것을 알고 인류를 돕기 위해 예를 세상에 파견한 것이다.
예는 요임금의 명을 받들어 북으로 설수(楔輸)를 베고 서로는 구영(九嬰)을 멸하고 중앙에서는 봉희(封豨)를 제거하고 남으로 파사를 죽이고 동으로 대풍을 쐈다. 또 착치를 죽였다. 이렇게 재앙을 제거하자 요의 성덕이 천하에 널리 퍼졌고 천하의 인심이 돌아왔다. (계속)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