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6(일)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세 가지 해(害)를 제거한 주처(周處)

편집부  |  2013-04-17
인쇄하기-새창

[SOH] 다른 사람 장점 보면, 본받으려 마음먹고, 쫓아가기 멀지라도 점차 따라가야 한다. 다른 사람 단점 보면, 자기 안을 살펴보아, 고칠 점은 고쳐 잡고, 없으면 경계하라.


뜻은, 다른 사람의 장점을 보면 자신도 그처럼 잘 하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설령 다른 사람보다 많이 부족하더라도 마음을 다잡고 최선을 다해서 천천히 따라 잡으려고 해야한다. 다른사람의 단점을 보면 바로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반성해야 한다, 만약 잘못이 있다면 바로 고쳐야 하며 잘못이 없다면 더욱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옳고 그름을 알고 나서는 범하지 말아야 하고, 다른 사람의 전철을 밟지 말아야 한다.


“주처(周處)가 세 가지 해(害)를 제거하다”라는 고사를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용기 있고 재능이 뛰어난 주처는 마을 사람들을 불안하게 하는 물속의 교룡(蛟)과 산속에서 사람을 해치는 늙은 호랑이를 해치웠습니다. 주처가 고향으로 무사히 돌아왔는데 마을 사람들은 여전히 불안해했습니다. 그는 이것을 보고서 아직까지 제거하지 못한 것이 하나 남아있음을 깨닫게 됐습니다.


그것은 바로 주처 자신이었습니다. 그는 오직 자기의 나쁜 행위를 고쳐야지 비로소 마을 사람들이 편안하고 즐겁게 살 수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이미 늙었고 학식도 없어 개과천선하려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데 그것이 가능할 것인지 그는 늘 고심했습니다.


하루는 우연한 기회에 마을 사람들로부터 오군[吳郡, 지금의 강소성(江蘇省) 소주(蘇州)]의 육기(陸機)와 육운(陸雲), 두 형제(兄弟)에 관한 이야기를 전해 듣게 됐습니다. 두 형제는 대단한 재능과 학식을 가지고 있고 매우 독특한 통찰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두 형제는 남을 잘 도와주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이리하여 주처는 오군의 육기와 육운 형제에게 도움을 청하기로 결심하고 육씨 집에 찾아갔습니다. 육씨 형제의 집에 당도해보니 형인 육기는 외출 중이고 동생 육운만 집에 있었습니다.


주처는 육운에게 이제까지 상황을 설명하고 자신의 고민거리를 모조리 털어놓으며 어떻게 하면 좋을지 육운에 물어보았습니다. 육운은 모든 이야기를 듣고 난 후, 주처에게 ‘옛날 사람들은 아침에 도(道)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라는 말을 대단히 중시한다고 말했습니다.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라고 주처가 말하자, 육운은 “바로 사람이 아침에 성현의 대도(大道)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일생을 헛되게 보내지 않은 것으로 여겼습니다. 하물며 당신은 앞날에 희망이 있으니 쉽게 포기하지 마십시오. 사람은 포부와 목표가 없는 것이 두려운 것이지, 아름다운 명성이 널리 알려지지 않는가를 마음에 두지 마십시오”라고 말하자 주처는 이 말을 다 듣고 난 후 용기가 솟아났습니다.


이때부터 주처는 개과천선하고 열심히 공부(功夫)해 훌륭한 사람이 됐습니다.


“견인선(見人善),즉사제(即思齊) 종거원(縱去遠),이점제(以漸躋) 즉, 다른 사람의 장점을 보면 본받으려 마음먹고, 쫓아가기 멀지라도 점차 따라 가야 한다.”는 말씀은 대단히 일리가 있는 것입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2 자신을 엄격하게 한 장손검(長孫儉)
편집부
13-04-29
21 괄목상대(刮目相對)
편집부
13-04-23
20 세 가지 해(害)를 제거한 주처(周處)
편집부
13-04-17
19 닭을 훔친 죄가 기록된 지옥(地獄) 명부
편집부
13-04-10
18 개과천선(改過遷善)
편집부
13-04-02
17 새벽 닭 울음소리를 듣고 무예(武藝)를 연마하다
편집부
13-03-26
16 사마광(司馬光)의 자식 교육
편집부
13-03-19
15 노인을 공경하여 도(道)를 얻은 장량(張良)
편집부
13-03-12
14 유자(儒者)는 학식(學識)이 넓고 의관(衣冠)이 단정해야....
편집부
13-03-05
13 정문입설(程門立雪)
편집부
13-02-18
1234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677,997

9평 공산당

더보기